반응형

인사혁신처 2

시간선택제 공무원, 이제는 폐지해야 할 시점인가?

시간선택제 공무원의 현황과 문제점2014년 도입된 '시간선택제 공무원' 제도가 현재 유명무실해지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전국적으로 많은 인사부서들이 제도 폐지를 희망하는 가운데, 신규 채용은 2020년 이후로 중단되었습니다. 이 제도의 도입 취지는 '일·가정 양립과 양질의 일자리 창출'이었으나, 현재는 업무 연속성 저하와 인사 운영의 어려움 등으로 인해 현장의 만족도가 낮아지고 있습니다. 특히, 시선제 공무원들은 전일제 공무원과 동일한 업무를 수행하면서도 상대적으로 낮은 처우를 받고 있어 임용 포기나 퇴직 현상이 속출하고 있습니다. 시선제 공무원의 처우 문제현재 약 3000명의 시선제 공무원이 공직사회에 남아 있지만, 이들에 대한 적절한 관리와 처우는 손 놓고 있는 상황입니다. 중앙행정기..

이슈 2025.05.08

공공부문 대변혁! 2027년부터 PSAT과 한국사시험 개편 예고

2027년부터 국가공무원 채용시험의 대격변이 예고되고 있습니다.이번 개편의 핵심은 공직적격성평가(PSAT)를 별도의 검정시험으로 분리 시행하는 것이며, 9급 공채시험에서의 한국사 과목을 한국사능력검정시험으로 대체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변화는 수험생들에게 많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며, 공공부문 채용시험의 효율성을 높이고 수험생의 부담을 줄이는 데 기여할 것입니다.  개정안의 내용을 살펴보면, 지금까지 공무원 5급 및 7급 시험에 활용되던 PSAT가 이제는 독자적인 검정시험으로 전환된다는 것입니다.이는 수험생들이 먼저 공무원 시험에 응시해야 할 필요 없이 PSAT 성적을 취득한 후 다양한 시험에 응시할 수 있게 만든다는 점에서 매우 유의미합니다.  더욱이 공공부문 채용시험의 경우도 PSAT 성적을 활용..

이슈 2025.03.1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