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에너지솔루션, 6조 원 규모 LFP 배터리 공급 계약 체결
LG에너지솔루션이 단일 계약 기준 역대 최대 규모인 6조 원 상당의 리튬인산철(LFP) 배터리 공급 계약을 체결하며, ESS 시장을 향한 공격적인 행보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번 계약은 8월 1일부터 3년간, 고객사와의 협의에 따라 최대 7년까지 연장 가능하며, 지난해 연간 매출의 23.2%에 달하는 규모입니다. 업계는 이 계약의 유력한 공급처로 테슬라를 지목하고 있으며, 북미 ESS 시장 선점을 위한 중요한 발걸음으로 평가하고 있습니다.
계약 상대는 비공개, 테슬라가 유력 후보로 거론되는 이유
계약 상대는 경영상 비밀유지 사유로 인해 공개되지 않았지만, 업계에서는 테슬라를 유력한 후보로 보고 있습니다. 이는 미국 내에서 LFP 기반 ESS 사업을 대규모로 추진 중인 기업이 제한적이라는 점, 그리고 테슬라가 1분기 실적 발표에서 미국 내 LFP 공급처를 찾고 있다고 언급한 점을 근거로 합니다. LG에너지솔루션은 현재 북미에서 ESS 전용 LFP 배터리를 대규모로 양산 중인 유일한 기업이며, 이번 계약을 통해 테슬라와의 협력 가능성을 더욱 높이고 있습니다.
50GWh 규모, 북미 ESS 시장을 뒤흔들 빅딜
이번 계약의 공급 규모는 셀당 평균 단가 85달러를 기준으로 약 50GWh에 달할 것으로 추정됩니다. 이는 올해 3월 델타일렉트로닉스와 체결한 4GWh 규모 주택용 ESS 계약의 12배가 넘는 수준으로, LG에너지솔루션의 ESS 시장 내 입지를 더욱 강화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이미 지난해 말 미국 재생에너지 기업 테라젠과 최대 8GWh 규모의 계약을 체결한 바 있으며, 이번 빅딜을 통해 북미 ESS 시장에서 압도적인 경쟁력을 확보할 것으로 보입니다.
급성장하는 북미 ESS 시장, LFP 배터리의 중요성
미국 내 ESS 시장은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으며, LFP 배터리의 중요성 또한 커지고 있습니다. 시장조사업체 블룸버그NEF에 따르면, 미국 내 ESS 누적 설치량은 2023년 19GW에서 2035년 250GW로 13배 이상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확산으로 인한 전력 수요 증가도 LFP 중심의 ESS 수요 확대를 가속화하고 있습니다. 국제에너지기구(IEA)에 따르면, 2023년 글로벌 ESS 시장 내 LFP 배터리 점유율은 80%에 달하며, LFP 배터리는 ESS 시장의 핵심 기술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LG에너지솔루션의 북미 LFP 시장 선점 전략
LG에너지솔루션은 전기차 수요 둔화와 투자 불확실성으로 인해 미시간주 홀랜드 공장의 기존 라인을 전환하여 5월부터 롱셀 기반 파우치형 LFP 양산을 시작했습니다. 이번 계약 물량 역시 이곳에서 생산될 가능성이 크며, LG에너지솔루션은 북미 시장에서 ESS용 LFP 배터리 생산 능력을 확대하며 시장 점유율을 높여갈 계획입니다. 경쟁사인 삼성SDI와 SK온 역시 ESS 시장 경쟁에 뛰어들면서, 국내 배터리 3사의 치열한 경쟁이 예상됩니다.
배터리 3사의 ESS 시장 경쟁 본격화
이번 LG에너지솔루션의 대규모 수주를 계기로 국내 배터리 3사의 ESS 시장 경쟁이 본격화될 전망입니다. 삼성SDI는 최근 국내 1조 원 규모의 중앙계약시장 입찰에서 니켈코발트알루미늄(NCA) 기반 배터리로 80%에 가까운 점유율을 확보하며 ESS 시장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SK온 역시 충남 서산 공장에서 ESS용 LFP 양산성 검증에 나서며 시장 경쟁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LG에너지솔루션이 북미 시장에서 한발 앞선 만큼, 향후 생산 능력 확대와 추가 수주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핵심만 콕! LG엔솔, 테슬라 ESS 잡고 북미 시장 '올킬'?
LG에너지솔루션이 6조 원 규모의 LFP 배터리 공급 계약을 통해 북미 ESS 시장 공략에 나섰습니다. 테슬라와의 협력 가능성이 높은 가운데, 50GWh에 달하는 공급 규모는 시장에 큰 파장을 일으킬 것으로 보입니다. 급성장하는 북미 ESS 시장에서 LG에너지솔루션의 선전이 기대되며, 국내 배터리 3사의 경쟁 또한 더욱 치열해질 전망입니다.
자주 묻는 질문 (FAQ)
Q.이번 계약의 공급처는 어디인가요?
A.계약 상대는 경영상 비밀유지 사유로 비공개입니다. 하지만 업계에서는 테슬라가 유력한 후보로 거론하고 있습니다.
Q.LFP 배터리가 무엇인가요?
A.LFP 배터리는 리튬인산철을 사용한 배터리로, ESS(에너지저장장치) 시장에서 각광받고 있습니다. 안전성이 높고, 가격 경쟁력이 뛰어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Q.앞으로 ESS 시장은 어떻게 전망되나요?
A.미국 내 ESS 시장은 2035년까지 13배 이상 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인공지능 데이터센터 확산 등 전력 수요 증가로 인해 LFP 배터리 중심의 ESS 수요가 더욱 확대될 것으로 보입니다.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세 사기, 피해 지원 넘어 시장 정상화에 초점을 맞춰야 (1) | 2025.07.30 |
---|---|
홍준표, '윤석열' 저격! 국민의힘 '꼭두각시' 비판, 분노의 목소리 (2) | 2025.07.30 |
조국 사면 요구 봇물, 여당 내 온도차와 숨겨진 속마음 분석 (0) | 2025.07.30 |
삼계탕 대신 뭐 먹지? 2024년 복날, 주목해야 할 이색 보양식 트렌드 (0) | 2025.07.30 |
마곡으로 향하는 기업들: CBD, GBD, YBD를 넘어 MBD 시대의 개막 (1) | 2025.07.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