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십억 원 지역화폐 불법 소각 사건 발생: 충격과 파장
경북 영양군에서 유효기간이 남은 지역화폐 수십억 원 상당이 불법 소각되는 사건이 발생하여 지역 사회에 큰 충격을 주고 있습니다. 지난 22일, 한 가정집에서 지역화폐와 상품권을 태우고 있다는 신고가 접수되면서 경찰이 현장에 출동했습니다. 아궁이 주변에서 수십억 원에 달하는 지역화폐가 탄 흔적이 발견되었으며, 이는 지역 경제와 신뢰에 심각한 타격을 줄 수 있는 사건입니다.
소각된 지역화폐의 정체: 영양사랑상품권
소각된 지역화폐는 2022년 발행되어 2027년까지 사용 가능한 ‘영양사랑상품권’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이 상품권은 청송·영양축협에서 현금으로 환전된 후, 은행의 정식 폐기 절차를 거치지 않고 외부로 유출된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이는 지역화폐 관리 시스템의 허술함을 드러내는 동시에, 부정 사용의 위험을 내포하고 있어 더욱 심각한 문제입니다.
사건의 주범, 축협 계약직 직원 A 씨
경찰 조사 결과, 해당 지역화폐를 불법 소각한 인물은 영양축협 계약직 직원 A(36) 씨로 밝혀졌습니다. A 씨는 한 묶음당 1000장, 종이상자 4박스 분량의 지역화폐, 즉 수십억 원에 달하는 금액을 소각했습니다. 더욱이, 상품권에 구멍을 뚫는 등 부정 사용 방지 조치도 취하지 않아, 시중에 유출될 경우 현금처럼 사용될 수 있는 위험한 상황이었습니다.
지역화폐 유출의 배후: 축협 여직원 B 씨
경찰은 지역화폐 유출 경로를 추적한 결과, 축협 담당 여직원 B(35) 씨가 퇴직 전 A 씨에게 ‘태워 처리하라’고 지시한 사실을 확인했습니다. A 씨는 B 씨의 지시에 따라 부모 집 아궁이를 통해 지역화폐를 모두 소각했습니다. 이는 단순한 개인의 일탈을 넘어, 조직적인 관리 부실과 도덕적 해이가 빚어낸 결과로 볼 수 있습니다.
지역화폐 폐기 절차와 관리의 중요성
지역화폐는 현금처럼 사용된 후 은행에서 환전되며, 환전된 상품권은 허가된 업체나 조폐공사에서 수거해 소각하거나 은행에서 직접 소각 처리해야 합니다. 청송·영양축협 관계자는 “환전된 지역화폐는 주기적으로 한 번씩 폐기한다”고 밝혔지만, 이번 사건은 그동안 여러 직원이 바뀌면서 관리가 소홀해진 탓으로 보입니다. 엄격한 관리와 투명한 절차는 지역화폐 시스템의 신뢰를 유지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경찰 수사 방향: 불법 유통 가능성 조사
경찰 관계자는 “축협에서 유출된 지역화폐는 2023년 폐기될 대상이었다”며, “불법 유통 사례가 있는지 면밀히 조사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경찰은 지역화폐 유출 경위와 함께, 혹시라도 불법 유통된 사례가 있는지, 그리고 추가적인 피해가 발생했는지 등을 집중적으로 조사할 예정입니다. 이번 사건을 통해 지역화폐 관리 시스템의 전반적인 점검과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핵심 요약: 수십억 지역화폐 소각 사건의 전말
영양군에서 발생한 수십억 원 규모의 지역화폐 불법 소각 사건은, 관리 부실과 도덕적 해이가 빚어낸 충격적인 결과입니다. 축협 직원들의 부주의한 행위와 허술한 관리 시스템은 지역 사회의 신뢰를 훼손했으며, 철저한 수사와 시스템 개선을 통해 재발 방지 노력이 시급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과 답변
Q.소각된 지역화폐는 어디에서 발행되었나요?
A.소각된 지역화폐는 2022년 발행된 ‘영양사랑상품권’입니다.
Q.지역화폐는 왜 소각되었나요?
A.축협 직원의 지시에 따라, 폐기 절차를 거치지 않고 불법적으로 소각되었습니다.
Q.경찰은 어떤 부분을 조사하고 있나요?
A.지역화폐 유출 경로, 불법 유통 여부, 추가 피해 발생 여부 등을 조사하고 있습니다.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비 쿠폰, 얼어붙은 민생 경제에 봄을 가져올 수 있을까? - 긍정적 효과와 과제 (1) | 2025.07.26 |
---|---|
60세 여성의 솔직한 고백: 안면거상술, '이것'만 일찍 했더라면... (1) | 2025.07.26 |
도서전 무대마저 바꾼 권력의 입김…출판계, '지배 관료주의'에 맞서다 (3) | 2025.07.26 |
길음동 기원 칼부림 사건, 내기 바둑이 부른 비극…사건의 전말과 향후 수사 방향 (2) | 2025.07.26 |
생명의 불꽃을 다시 지피다: 새내기 간호사의 용감한 심폐소생술, 한 시민의 삶을 구하다 (1) | 2025.07.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