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의 위기: 트레이드 마감일, 그리고 라파엘 데버스
메이저리그 공식 홈페이지 MLB닷컴은 트레이드 마감일을 앞두고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를 포함, 가장 급박함을 느낄 수 있는 팀으로 꼽았다. 핵심 이유는 라파엘 데버스 영입이다. MLB닷컴은 샌프란시스코가 트레이드 데드라인 주간에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고 지적하며, 데버스 영입이 즉시 우승을 노리는 것이 아니라면 의미가 없다고 강조했다. 데버스는 2033년까지 계약이 되어 있지만, 그의 전성기는 바로 지금이다.
이정후 영입과 샌프란시스코의 목표: 우승을 향한 여정
샌프란시스코는 지난 시즌을 앞두고 이정후와 6년 총액 1억1300만 달러(약 1609억 원)의 계약을 맺었다. 이정후가 수술 후 재활을 마치고 돌아온 이번 시즌을 의욕적으로 준비했다. 이정후에 이어 유망주 패키지를 내주고 데버스까지 데려온 것은 샌프란시스코가 이번 시즌 우승을 노린다는 것을 뜻한다.
침체된 샌프란시스코: 4연패와 포스트시즌 진출의 갈림길
MLB닷컴이 지적한 대로 샌프란시스코는 트레이드 마감일이 코앞까지 다가온 현 시점에 매우 침체되어 있다. 이날 피츠버그를 상대로 5-6으로 쓴잔을 마시면서 4연패에 빠졌다. 최근 10경기 성적이 2승 8패에 불과하다. 한때 다저스와 공동 선수까지 올랐지만 현재 다저스와 승차는 8경기로 벌어졌다. 시즌 성적 54승 53패로 5할 승률이 무너질 위기다.
포스트시즌 희망은 남아있다: 와일드카드 경쟁과 반등의 기회
그러나 포스트시즌 진출을 포기할 상황은 아니다. 내셔널리그 와일드카드 경쟁에서 승차가 4경기다. 시즌이 막바지를 향해가면서 탱킹하는 팀들이 나오기 때문에 반등 여지는 충분하다.
트레이드의 필요성: 샌프란시스코 선수들의 목소리
버스터 포지 샌프란시스코 사장은 물론이고 샌프란시스코 선수도 공개적으로 트레이드 필요성을 주장하기도 했다. 3루수 맷 채프먼은 "우린 여전히 포스트시즌 진출 경쟁권에 있다"며 "포지는 우리가 데버스 영입을 위해 나섰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추가 영입을 통해 플레이오프 진출을 위해 노력할 것을 기대한다"고 밝혔다.
강화해야 할 포지션: 선발 투수와 공격력
샌프란시스코가 강화할 최우선 포지션은 선발투수다. 이번 시즌을 출발했을 때 선발투수 후보만 7명이었고 트리플A에서도 예비 자원이 풍부했지만, 조던 힉스와 카일 해리슨 등이 트레이드 되고 부상 선수들이 나오면서 현재는 선발 로테이션에 세 명만 남아 있다. 공격력 강화 필요성도 제기된다. 샌프란시스코는 왼손 투수 상대 OPS가 리그 28위에 머물고 있으며, 좌완 선발 상대 성적은 10승 18패다.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트레이드를 통해 반등할 수 있을까?
샌프란시스코는 이정후 영입과 데버스 트레이드를 통해 우승을 노리고 있지만, 현재 팀 상황은 좋지 않다. 트레이드 마감일을 앞두고 선발 투수와 공격력 강화를 위한 노력이 절실하며, 선수들의 기대 속에 포스트시즌 진출을 향한 반등을 기대하고 있다.
자주 묻는 질문
Q.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가 트레이드를 통해 얻으려는 것은 무엇인가요?
A.선발 투수진 보강과 공격력 강화를 통해 포스트시즌 진출 및 우승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Q.이정후 선수의 역할은 무엇인가요?
A.이정후 선수는 샌프란시스코의 공격력 강화를 위한 핵심 선수로, 팀의 우승 도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Q.샌프란시스코는 왜 트레이드를 해야 할까요?
A.현재 팀의 부진한 성적을 극복하고 포스트시즌 진출을 위해 전력 보강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스포츠' 카테고리의 다른 글
MLB를 흔드는 '유리몸' 논란, 이정후·김하성·김혜성, 험난한 메이저리그 생존기 (1) | 2025.07.30 |
---|---|
NC로 돌아온 이우성, 눈물의 소감: '돌고 돌아, 이제는 폐 안 끼치고 잘 해보겠다' (2) | 2025.07.30 |
황선우, 4위로 아쉬움 삼킨 男 자유형 200m… 다시 한번 세계를 향한 질주를 기대하며 (1) | 2025.07.29 |
7000억 몸값, 라민 야말 한국 상륙! 바르셀로나, 15년 만의 방한, K리그 격돌 (5) | 2025.07.29 |
다저스, 유망주 콜업과 김혜성 거취의 기로: '코리안 더비' 성사 여부도 불투명 (1) | 2025.07.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