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파산 위기에서 '세계 최고' 도시로: 코펜하겐, 도시 재생의 성공 비결

tisnow 2025. 8. 16. 19:13
반응형

절망에서 희망으로: 코펜하겐의 놀라운 변신

1980년대 말, 덴마크 코펜하겐은 파산 위기에 직면한 도시였습니다. 노인과 가난한 학생들만이 거리를 채웠고, 도시의 활력은 사라져 갔습니다. 하지만 코펜하겐은 포기하지 않았습니다. 30년이 지난 지금, 코펜하겐은 영국 이코노미스트 인텔리전스 유닛(EIU)이 선정한 '2025년 살기 좋은 도시들'에서 173개 도시 중 1위를 차지하며, 100점 만점에 98.0점을 받았습니다. 뿐만 아니라 올해 5월에는 '세계에서 가장 행복한 도시'로도 선정되었습니다. 이 놀라운 변화의 중심에는 도시 재생 사업의 성공이 있었습니다.

 

 

 

 

1990년대, 도시 재생의 시작: 대규모 인프라 구축

덴마크 정부는 1990년대 도시 재생을 위해 대형 인프라 사업을 추진했습니다. 덴마크와 스웨덴을 연결하는 다리를 건설하고, 해변을 개발했으며, 항만을 정화하는 사업을 시작했습니다. 이러한 노력은 도시의 물리적 환경을 개선하는 데 크게 기여했습니다.

 

 

 

 

사람 중심의 도시 설계: 얀 겔의 겔리즘

코펜하겐의 변화는 건축가이자 도시 설계 전문가인 얀 겔(Yan Gehl)의 이론에 깊이 영향을 받았습니다. 얀 겔은 '사람을 위한 도시', '인간을 위한 도시 만들기' 등 저서를 통해 인간 중심의 도시 계획 철학인 '겔리즘'을 전파했습니다겔리즘은 인간의 보행 속도, 시야, 체류 습관 등을 도시 설계에 반영하는 것을 의미합니다얀 겔은 코펜하겐을 자동차보다 보행자와 자전거를 우선시하는 공간으로 만들고, 공공 공간을 사회적 교류의 장으로 활용했습니다.

 

 

 

 

과거의 오명을 벗고, 여가와 지식 기반 도시로: 항구의 변신

코펜하겐 항구는 1980년대만 해도 오염된 산업 지역이었습니다하지만 현재는 여가와 지식 기반의 도시로 탈바꿈했습니다. 크리스틴 페데르센은 발표에서 “이제는 항구를 공공 수영장처럼 이용할 수 있고, 산책하거나 앉아서 맥주를 마실 수도 있다”고 말했습니다. 코펜하겐 시민들에게 항구는 단순한 공간이 아닌, 공용 거실과 같은 역할을 합니다.

 

 

 

 

도시의 생명력을 불어넣는 '엣지 존'

얀 겔은 건물과 거리 사이 혹은 사적 공간과 공적 공간이 만나는 회색지대인 '엣지 존'을 중요하게 여겼습니다. 얀 겔은 엣지 존에서 도시의 생명력이 나온다고 생각했습니다. 출입문 하나만 있는 단조로운 건물보다는 건물 주변에 의자, 유리창, 작은 마당 등 여러 요소를 배치할 때 도시 분위기 조성에 큰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주민 참여형 도시 재생: 지속가능한 도시를 향하여

코펜하겐은 물리적으로 낙후되거나 사회·문화적으로 문제가 있는 지역을 재생하는 프로젝트를 진행 중입니다. 다양한 부처의 예산을 결합하고 지역 조직과 함께 시행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이러한 변화는 1960~1970년대 하향식 도시 재개발 실패를 반성하고, 주민 참여형 접근 방식을 통해 이루어졌습니다. 기반 시설과 문화·사회 프로그램을 결합한 복합적인 접근 방식은 지속가능한 도시를 만드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핵심만 콕!

파산 위기에 놓였던 코펜하겐은 도시 재생 사업을 통해 '세계에서 가장 살기 좋은 도시'로 변모했습니다. 대규모 인프라 구축, 사람 중심의 도시 설계, 엣지 존의 활용, 주민 참여형 재생 프로젝트 등을 통해 지속가능한 도시를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코펜하겐의 성공은 도시 계획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며, 다른 도시들에게도 영감을 주고 있습니다.

 

 

 

 

독자들의 Q&A

Q.코펜하겐 도시 재생의 가장 중요한 성공 요인은 무엇인가요?

A.가장 중요한 성공 요인은 '사람 중심'의 도시 설계 철학입니다. 얀 겔의 겔리즘을 바탕으로 보행자와 자전거를 우선시하고, 공공 공간을 사회적 교류의 장으로 활용한 점이 핵심입니다.

 

Q.코펜하겐의 도시 재생 사업은 어떻게 진행되었나요?

A.1990년대 대규모 인프라 사업을 시작으로, 항만 정화, 해변 개발, 얀 겔의 겔리즘을 적용한 도시 설계, 주민 참여형 프로젝트 등을 통해 진행되었습니다.

 

Q.코펜하겐의 도시 재생 사업이 다른 도시들에게 주는 시사점은 무엇인가요?

A.도시 계획 시 '사람'을 중심에 두고, 지속가능성을 고려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합니다. 또한, 주민 참여를 통해 도시를 만들어가는 것이 중요하며, 낡은 것을 유지하면서 현재의 필요에 맞게 업데이트하는 방식 또한 좋은 방법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