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망의 순간: 끔찍했던 화재 현장
지난 17일 경기 광명시 소하동의 10층짜리 아파트에서 화재가 발생했을 당시 3층에 있다가 가까스로 구조된 A 씨는 오늘(18일) 취재진에 당시의 긴박했던 상황을 이같이 전했습니다. 불이 났을 때 집 안에서 쉬고 있던 A 씨는 누군가 외치는 "불이야!" 소리를 희미하게 들었다고 합니다. 혹시나 하는 마음에 창문을 열었을 때 밖은 이미 검은 연기로 앞이 보이지도 않는 상황이었습니다.
생사의 갈림길: 50분의 기다림
화장실 안에 쪼그려 앉아 젖은 수건으로 입을 막은 A 씨 등 가족 3명의 피 말리는 수십 분의 기다림이 시작됐습니다. 구조의 손길만을 학수고대하고 있는데 얼마 지나지 않아 전기와 수도 공급까지 끊겨 초조함은 더 커졌습니다. 어둠 속에서 불안감이 극에 달해 119에 재차 전화하길 반복하며 고립된 채 기다린 지 50분가량이 지난 오후 10시쯤이 돼서야 소방대원들은 집 문을 열고 들어와 A 씨 가족을 구조했습니다.
화재 원인과 피해 규모
불은 1층 필로티 주차장 천장에서 발생한 것으로 파악됐는데, 3층에 있는 A 씨 가구는 발화 추정지점과 불과 수 m 떨어져 있어 매우 위험한 상태였습니다. 실제로 이번 화재로 인해 심정지 상태로 이송됐다가 숨진 주민 3명은 모두 아파트 저층부에서 발견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앞서 전날 오후 9시 10분 광명시 소하동의 10층짜리 아파트(45세대·116명 거주) 1층 필로티 주차장에서 불이 나 3명이 숨졌습니다. 또 9명이 중상을 입고, 55명이 연기를 들이마시는 등 다쳤습니다.
생존의 열쇠: 화장실의 역할
놀란 마음을 가까스로 다잡은 A 씨는 집에 있던 가족들을 부르고 휴대전화를 챙긴 뒤 곧바로 집 안 화장실로 들어갔습니다. 이후 119에 신고하니 상황실 관계자 역시 "화장실에서 수건을 적셔 입을 막고 대기하라"고 안내했습니다. A 씨는 "소방대원들에 의해 구조된 뒤 화장실 밖으로 나오니 집 내부는 다 타 있었다"며 "그나마 화장실이 복도 쪽으로 들어가 있고, 안에 수돗물이 있어서 무사할 수 있었던 것 같다"고 말했습니다.
임시 숙소와 주민들의 어려움
가까스로 구조된 A 씨 가족은 당분간 광명시민체육관에 마련된 임시 숙소에서 지낼 예정입니다. 임시 숙소에는 현재 13세대 30여 명의 주민이 대피해 있는 상태입니다. 이곳에는 대피 주민들이 쓸 텐트와 식수, 침구 등이 준비됐습니다. A 씨는 "무사히 탈출해 다행이지만 집을 잃어 당장 생활과 출근이 걱정이다"라고 밝힌 뒤 "언제 집으로 돌아갈 수 있을지 모르겠다"며 한숨을 내쉬었습니다.
핵심 요약: 광명 아파트 화재, 생존자들의 절박한 이야기
광명시 아파트 화재는 3명의 사망자를 냈고, 생존자들은 공포 속에서 50분간의 사투를 벌였습니다. 화장실의 중요성과 임시 숙소의 어려움, 그리고 생존자들의 절박한 심정을 담고 있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과 답변
Q.화재 당시 A 씨 가족은 어떻게 대처했나요?
A.A 씨 가족은 '불이야!' 소리를 듣고 창문을 열었다가 검은 연기로 인해 앞을 볼 수 없게 되었습니다. 이후 화장실로 피신하여 젖은 수건으로 입을 막고 119의 지시에 따라 구조를 기다렸습니다.
Q.화재로 인한 피해는 어느 정도였나요?
A.3명이 사망하고, 9명이 중상을 입었으며, 55명이 연기를 흡입했습니다. 특히, 아파트 저층부에서 사망자들이 발견되었고, 1층 필로티 주차장에서 불이 시작되었습니다.
Q.생존자들이 겪는 어려움은 무엇인가요?
A.생존자들은 집을 잃고 임시 숙소에서 생활하며, 생활과 출근에 대한 걱정을 하고 있습니다. 언제 집으로 돌아갈 수 있을지 모르는 불안감 속에 놓여 있습니다.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6시간의 법정 공방: 윤석열 전 대통령 구속적부심, 석방의 문은 열릴까? (1) | 2025.07.18 |
---|---|
MRI 검사, 금 목걸이의 위험한 유혹: 한 남성의 중태 사고가 경고하는 것 (0) | 2025.07.18 |
배신과 고통의 무게: 상간녀와 남편, 그리고 한 여성의 눈물 (1) | 2025.07.18 |
대장동 개발 '김만배 무죄' 확정: 법원의 판단과 주요 쟁점 분석 (0) | 2025.07.18 |
멈춰버린 남부의 철길: 폭우로 인한 열차 운행 중단과 교통 상황 점검 (1) | 2025.07.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