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년 삼성 신입사원 수련회 영상, MZ세대의 시선을 사로잡다
최근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서 회자되고 있는 2006년 삼성신입사원하계수련대회 모습. 유튜브 '놀자키즈놀이터' 캡처"이것이, 응원이다!" 화려한 공연복을 입은 여성이 팔을 크게 굴리며 폴짝 뛰더니 카메라를 가리키고는 "스타트(시작)!"라고 외쳤다. 레이지본의 '우리의 힘을'이 울려 퍼지며 매스게임이 시작됐다. 도열한 사람들이 카드로 5초 카운트를 만들어 올렸다. 카운트가 끝나자 사람들이 일제히 카드를 내리고 자리에 앉더니, 음악에 맞춰 다시 일어났다. 이번엔 카드로 만든 빨간 사람 형상이 카메라를 향해 달려왔다. 온라인에서는 이 영상이 '그 시절 삼성전자 클라스'와 같은 제목으로 공유된다. 영상을 본 고진영(25)씨는 "대박, 진짜 대박"이라며 "저거 한 번 하고 나면 전우애가 장난 아닐 것 같다"고 했다.
취업난 속 '꼰대 문화'에 대한 MZ세대의 색다른 시선
취업난이 심해지자 청년들 사이에서 소속감을 강조하는 '꼰대 행사'가 오히려 동경의 대상이 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레트로 집단주의 현상'은 주로 취업준비생 사이에서 나타난다. 최종면접을 앞둔 이모(25)씨는 장기자랑을 하기 위해 코인노래방에 가서 연습까지 했다. 그는 "회사에서 실제로 쾌활하고 사람들과 잘 어울릴 수 있는지 보려고 하는 것 같다"며 "기업에 들어가고 싶은 입장에서는 과거 수련회 영상도 동경의 시선으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로열티를 넘어선 '과몰입'… 넥타이 색 맞추기, 외제차 처분까지
많은 취준생들은 회사에 대한 로열티를 강조하기 위해 넥타이 색을 맞추기도 한다. 서울 서대문구 신촌에서 넥타이 매장을 운영하는 최모씨는 "손님 10명에 2명은 회사 색에 맞는 넥타이를 사러 온다"며 "주로 금융사 지원자들이 회사에서 선호하는 색상을 구하러 오는 것 같다"고 했다. 인근의 다른 매장 매니저 박모씨도 "채용 시즌에 회사 로고를 보여주는 손님들이 종종 있다"며 "법률 사무소에서 근무한다는 분도 있었고, 항공사에 지원하는 분도 있었다"고 했다. 국내 자동차 업체에 취업하기 위해 팔던 외제차를 처분한 사례도 있다. 최모(28)씨는 "면접에서 3~4번 연달아 떨어져서 국산차로 갈아탔다"며 "면접관이 '얘 누구지?'라고 할만한 인상을 줘야 한다고 생각했다"고 했다. 최씨는 차를 바꾸고 6개월 만에 최종 합격했다.
취업 시장의 변화와 MZ세대의 '변화된 집단주의'
취업 시장에서는 구직이 어려워지자 청년들이 '로열티'를 강조하는 기업 수요에 맞춰 변한 것이라는 해석이 나왔다. 사람인 브랜드커뮤니케이션팀 김동욱 매니저는 "아무래도 취업을 하고 싶어 하는 마음이 대변된 것 같다"며 "기업 입장에서는 조직적합성을 중시하는 비율이 적지 않고, 구직자들은 구직난이 심하다고 느끼고 있다"고 말했다.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1분기 20대 고용률은 59.4%로 지난해 대비 1.5%p 감소했다. 다만 최근 유행하는 레트로 집단주의가 과거와는 결이 다르다는 평가도 있다. 성균관대 사회학과 정종현 교수는 "과거의 집단주의는 개인을 희생하면서까지 집단을 우선했다"며 "MZ세대가 추구하는 집단주의는 개성을 인정하면서도 집단에 대한 소속감을 추구하는 것 같다"고 했다. 정 교수는 "지금 현상은 집단주의와 개인주의 사이 중용을 찾아가는 공동체주의가 아닐까 싶다"고 덧붙였다.
핵심만 콕!
삼성전자 수련회 영상 역주행은 MZ세대의 취업난과 소속감에 대한 갈망이 빚어낸 현상입니다. 과거의 '꼰대 문화'가 레트로 열풍을 타고 재해석되며, 넥타이 색 맞추기, 외제차 처분 등 과도한 로열티 경쟁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MZ세대의 집단주의가 과거와 달리 개인의 개성을 존중하며 소속감을 추구하는 '공동체주의'에 가깝다고 분석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
Q.삼성 수련회 영상이 왜 다시 유행하게 되었나요?
A.취업난 속에서 소속감을 갈망하는 MZ세대가 과거 대기업 수련회 영상을 통해 향수를 느끼고, 긍정적인 이미지를 발견했기 때문입니다.
Q.MZ세대가 추구하는 집단주의는 과거와 어떻게 다른가요?
A.과거 집단주의가 개인 희생을 강조했다면, MZ세대는 개인의 개성을 존중하면서도 집단에 소속되기를 원합니다. 이는 '공동체주의'에 가깝다고 평가됩니다.
Q.취업 시장에서 로열티를 강조하는 현상은 왜 나타나는 건가요?
A.구직 경쟁이 심화되면서, 기업들이 조직 적합성을 중시하는 경향이 강해졌고, 구직자들은 이에 맞춰 기업에 대한 충성도를 높이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습니다.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건희 특검, 삼부토건 압수수색: '우크라이나 재건 테마주' 의혹, 수사 속도 (1) | 2025.07.03 |
---|---|
38년 군 생활 '독고다이' 임성근, 채 해병 특검서 구명 로비 의혹 진술 거부 (1) | 2025.07.03 |
상승 랠리: 코스피 3,100선 돌파! 투자 심리를 흔든 요인은? (2) | 2025.07.03 |
무궁화와 태극기 문신, 일본 공항에서 겪은 '진심'의 왜곡: 엇갈린 시선과 그 의미 (1) | 2025.07.03 |
끔찍한 현실: 친부의 성폭행, 딸을 넘어 손녀까지… 끝나지 않는 고통 (1) | 2025.07.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