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사우디 네옴시티 프로젝트, 한국 기업의 철수 신호탄?

tisnow 2025. 5. 20. 16:12
반응형

사우디 네옴시티 프로젝트의 현황

사우디아라비아의 '네옴시티 프로젝트'는 저탄소 스마트시티 개발을 목표로 하며, 그 중 '더 라인'은 170㎞의 직선 도시로 계획되었습니다. 그러나 최근 유가 하락과 사업비 증가로 인해 사우디 정부의 재정 상황이 악화되면서, 프로젝트의 정상적인 진행이 어려워졌습니다. 삼성물산과 현대건설을 포함한 국내 건설사들이 발주처의 자금 조달 능력 약화로 인해 차질을 빚고 있으며, 성신양회는 현지 공장 가동 중단과 함께 철수를 단행했습니다. 이로 인해 네옴시티 프로젝트의 미래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성신양회의 철수 배경

성신양회는 사우디 현지 법인 '진성인더스트리얼'을 통해 800억원 규모의 공사 계약을 체결했으나, 사우디의 재정 악화로 인해 지난해 1월 가동 중단을 결정했습니다. 애초에 네옴시티 프로젝트에 대한 기대가 컸으나, 유가 하락과 외국인 투자 감소로 인해 사업비가 증가하면서 프로젝트의 진행이 지연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성신양회의 사업 중단은 국내 건설업체들에게 심각한 경고 신호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네옴시티 프로젝트의 주요 구성

네옴시티 프로젝트는 크게 세 가지 주요 프로젝트로 나뉘어 있습니다. 첫째, '더 라인'은 170㎞의 직선 도시로 설계되었으며, 둘째, '옥사곤'은 바다 위의 첨단 산업단지, 셋째, '트로제나'는 산악 관광단지입니다. 이들은 모두 사우디의 '비전 2030'의 핵심 사업으로, 총사업비는 1조달러에 달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계획들이 실현되기 위해서는 안정적인 재정 지원이 필수적입니다.

 

 

 

 

사우디 정부의 변화

사우디 정부는 최근 대형 스포츠 이벤트에 우선 순위를 두고 있으며, 이에 따라 네옴시티 프로젝트의 진행에 대한 의구심이 커지고 있습니다. 2029년 동계 아시안게임, 2030년 엑스포, 2034년 월드컵 등 대규모 이벤트를 앞두고 있기 때문에, 인프라와 경기장 건설에 필요한 해외 발주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재정 압박과 불확실성이 여전히 존재하기 때문에, 한국 기업들이 이익을 얻기란 쉽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미래 전망과 기업 전략

한국 건설사들은 현재 네옴시티 프로젝트 대신 사우디 리야드로 눈을 돌리고 있으며, 추가 수주 기회를 모색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재정 압박과 유가 변동으로 인해 이마저도 쉽지 않을 것이란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업계 관계자는 '기회는 여전히 존재하지만, 단기적 대규모 수주나 안정적인 수익은 기대하기 어렵다'고 언급했습니다. 이처럼 한국 기업들은 불확실한 상황 속에서 전략을 재조정하고 있습니다.

 

 

 

 

네옴시티 프로젝트의 향후 방향은?

결국 사우디 네옴시티 프로젝트의 정상적인 진행은 어려워 보이며, 한국 기업들이 철수할 가능성도 커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프로젝트 자체가 종료된 것은 아니므로, 향후 사우디 정부나 중동 지역의 정세 변화에 따라 새로운 판단이 필요할 것입니다.

 

 

 

 

독자들의 Q&A

Q.네옴시티 프로젝트는 언제 완공되나요?

A.현재로서는 프로젝트 완공 일정이 불투명하며, 여러 악재로 인해 지연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Q.한국 기업들은 앞으로 어떤 전략을 세울까요?

A.한국 기업들은 현재 네옴시티 대신 사우디 리야드에서의 추가 수주 기회를 모색 중입니다.

 

Q.사우디의 재정 상황은 앞으로 어떻게 될까요?

A.유가 변동과 외국인 투자 감소 등으로 인해 재정 상황은 어려운 상황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