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대선 후보들의 뜨거운 논쟁, 커피 원재료에서 사드 배치까지! 진실은?

tisnow 2025. 5. 19. 08:07
반응형

이재명, 커피 원재료 가격에 대한 발언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는 최근 경제 분야 TV 토론에서 커피 원재료 가격에 대해 "2019년 봄경 정도에는 120원 정도 한 게 맞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2011년 관세청 발표를 바탕으로 한 수치로, 당시 미국산 원두 10g의 수입 원가는 123원이었습니다. 커피 전문점들은 이 원두를 사용해 아메리카노 한 잔을 약 30배 비싼 가격에 판매하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현재 커피 원두 가격은 상승해 잔당 500원에 가까운 통계도 있으며, 원가에는 원두값 외에도 물, 컵, 빨대 등 소모품 비용과 인건비, 장소 임대료 등이 포함되어야 합니다. 이러한 요소들을 반영할 경우, 한 잔의 커피 원가는 1500원 이상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김문수, 사드 철회 발언의 진위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는 이재명 후보의 발언을 언급하며 "이재명 후보께서는 성남시장을 할 때 2017년에는 미군 철수를 각오하고라도 경제 파탄을 불러오는 사드 배치를 철회해야 된다"고 주장했습니다. 이재명 후보는 2017년 당시 성남시장이었던 시절, 사드 배치에 대한 반대 입장을 강하게 표명한 바 있습니다. 그는 미국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재협상을 통해 사드를 배치하지 말아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이 발언은 당시 민주당 내 다른 대권 주자들과도 다른 입장으로 주목받았습니다.

 

 

 

 

이준석, 일본을 적성 국가로 표현한 이재명

이준석 개혁신당 대선 후보는 이재명 후보가 과거 일본을 '적성 국가'라고 표현한 사실을 지적했습니다. 이재명 후보는 성남시장 재직 시절 일본의 군사적 팽창에 대한 우려를 표명하며 일본을 적성 국가로 지칭한 적이 있습니다. 그는 일본이 군사대국화를 지향할 경우 한반도가 첫 번째 희생양이 될 것이라는 경고를 했습니다. 이 발언은 당시 기자간담회와 페이스북에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경제 성장률과 내수 경기

이재명 후보는 "1분기에 0.2% 마이너스 성장을 했다고 하고 그중에 특히 내수가 2분기째 마이너스 성장이라고 합니다"라고 언급하며, 국내 내수 경기가 완전히 경색되었다고 진단했습니다. 한국은행의 자료에 따르면 2025년 1분기 성장률이 -0.2%로 집계되었으며, 이는 내수 부문에서 소비와 투자가 모두 줄어들었다는 것을 반영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내수 경기의 침체는 자영업자와 서민들에게 큰 타격을 주고 있으며, 많은 가게들이 매출 감소로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노란봉투법 논란

김문수 후보는 노란봉투법에 대해 "헌법에도 안 맞고 민법에도 안 맞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나 국회입법조사처는 노란봉투법이 헌법과 민법 체계에 어긋나지 않는다는 조사 결과를 발표한 바 있습니다. 이 법안은 노동자와 사용자의 개념을 확대하고, 노조 가입자 제한 요건을 삭제하는 내용으로, 헌법상 노동 3권의 확대로 볼 수 있기 때문에 위헌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고 판단한 것입니다.

 

 

 

 

대선 후보들의 발언, 진실은 무엇인가?

이번 대선 후보 토론에서 이재명, 김문수, 이준석 등 후보들은 각자의 입장을 강하게 주장했습니다. 커피 원재료 가격, 사드 배치, 일본 문제, 내수 경기 상황 등 다양한 주제가 논의되었으며, 각 발언의 진위 여부에 대한 검증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논쟁은 단순한 정책 차이를 넘어, 후보들의 비전과 철학을 드러내는 중요한 기회가 되었습니다.

 

 

 

 

독자들의 Q&A

Q.이재명 후보의 커피 원재료 가격 발언은 사실인가요?

A.이재명 후보의 발언은 과거 관세청 자료를 바탕으로 한 것으로, 당시 커피 원재료 가격이 120원이었음은 사실입니다.

 

Q.노란봉투법은 헌법에 위배되지 않나요?

A.국회입법조사처의 조사 결과, 노란봉투법은 헌법과 민법에 어긋나지 않는다고 밝혔습니다.

 

Q.내수 경기가 침체된 이유는 무엇인가요?

A.내수 경기가 침체된 이유는 소비와 투자의 감소로, 이는 경제 전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