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 무기, 기초 장비 부족의 현실
전인범 전 특전사령관은 연합뉴스와의 인터뷰에서 한국군의 기초 장비 부족을 지적하며, 첨단 무기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 기초장비가 잘 갖춰져야 전쟁에서 이길 수 있습니다.라고 강조했습니다. 그는 전투기, 함정 등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무전기, 텐트, 발전기 등 기본적인 장비의 부족으로 작전에 어려움을 겪는 현실을 꼬집었습니다.
카톡으로 소통하는 소대, 위협받는 군 통신
가장 심각한 문제 중 하나는 무전기 부족으로 인한 소대 단위에서의 카카오톡 사용입니다. 전 사령관은 현재는 소대장이 중대장한테 보고할 때 카톡을 사용하는 일이 적지 않다.라고 말하며, 이는 군사 기밀 유출뿐만 아니라, 전쟁 시 통신망 붕괴로 이어질 수 있는 위험한 상황이라고 경고했습니다. 그는 이러니 카톡으로 전쟁하는 것은 위험한 일이다.라고 단언하며, 대대급 이상에서 위성통신을 사용하지만, 하위 부대에서의 통신 문제는 여전히 심각하다고 지적했습니다.
북한군의 숨겨진 강점: 기초 장비와 사이버전
전 사령관은 북한군이 가진 AK 계열 소총의 신모델과 기관총의 화력, 분대별 RPG(대전차 로켓) 운용 능력을 언급하며, 우리 국민이 생각하는 것보다 북한군의 기초 장비가 우수할 수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또한, 사이버전에서는 북한군이 한국군보다 강하다고 본다.라고 언급하며, 사이버전 능력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예산 부족과 파벌, 한국군이 직면한 과제
전 사령관은 무전기 부족의 원인으로 예산 문제를 지적하며, 국방 예산 증액의 필요성을 역설했습니다. 또한, 지휘관들의 파벌 문제와 통신 수단의 문제를 언급하며, 한국의 지휘관들은 경상도, 전라도, 육사 출신, 3사(육군3사관학교) 출신 등의 파벌로 갈라져 있다.라고 말하며, 이는 전쟁 시 협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우려했습니다.
미래를 위한 제언: 안보 문제에 대한 관심 촉구
전 사령관은 국회, 정부, 군, 그리고 국민에게 각각 당부의 말을 전했습니다. 그는 안보 문제에 대한 정치인들의 단결과 일관성을 촉구하고, 군의 어려움을 인정하고 개선하려는 노력을 강조했습니다. 또한, 국민들에게 우리가 누리는 자유는 많은 선조와 선배들의 희생에 의한 것이다.라며 안보 문제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을 가져줄 것을 호소했습니다.
핵심만 콕!
전 특전사령관의 인터뷰를 통해 한국군의 첨단 무기 발전에도 불구하고, 기초 장비 부족, 통신 문제, 파벌, 예산 부족 등 해결해야 할 과제가 산적해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특히, 카카오톡을 사용하는 군 통신, 예비군 장비 부족 등은 즉각적인 개선이 필요한 부분입니다. 북한군의 숨겨진 강점과 사이버전 능력에 대한 경고는, 안보 문제에 대한 국민적 관심과 정부의 적극적인 노력을 더욱 강조합니다.
독자들의 Q&A
Q.한국군의 가장 시급한 문제는 무엇인가요?
A.전 특전사령관은 기초 장비 부족, 특히 무전기 부족으로 인한 통신 문제를 가장 시급한 문제로 지적했습니다. 또한, 예산 부족, 지휘관 파벌 문제 등도 해결해야 할 과제로 꼽았습니다.
Q.북한군과의 전력 비교에서 우리가 간과하고 있는 부분은 무엇인가요?
A.전 사령관은 북한군의 기초 장비와 사이버전 능력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습니다. 북한군이 가진 AK 계열 소총, 기관총, RPG 등의 위협과 사이버전 능력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Q.국민으로서 안보를 위해 무엇을 할 수 있을까요?
A.전 사령관은 안보 문제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을 가질 것을 강조했습니다. 정치인들에게 안보 문제에 대한 단결과 일관성을 요구하고, 군의 노고에 감사하며, 올바른 정보를 습득하고 공유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진웅, '윤석열 비상계엄' 비판: '우리가 어떤 민족인데!' (4) | 2025.08.09 |
---|---|
1억 투자, 3천만 원 수익! 지어소프트 주가 급상승 비결은? (6) | 2025.08.09 |
홍준표, '주식 거래' 이춘석 의원 향해 충격적 비판: '이재명 정권 앞날 가늠케 한다' (4) | 2025.08.09 |
출근길 악취 vs 펜션 바가지요금: 당신의 여름을 망치는 불편한 진실 (8) | 2025.08.08 |
여수, 또다시 잔반 재사용 논란: 음식점 위생 문제, 자정 노력 무색? (6) | 2025.08.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