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미국 학생비자 심사 변화: SNS 검토가 불러올 미래의 불안과 기회

tisnow 2025. 3. 29. 21:11
반응형

최근 미국 국무부는 학생 비자 신청자에 대한 심사 절차를 대폭 강화한다고 발표하였습니다.

이는 특히 신규 및 갱신 F, M, J 비자 신청자에게 적용되며, 신청자의 SNS(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활동에 대한 검토가 의무화되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테러를 옹호하는 것으로 보이는 신청자를 배제하기 위한 조치로 설명되고 있으며, 이는 국가 안보를 강조한 새로운 기준으로 서구 국가 내에서의 비자 심사의 투명성과 신뢰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으로 보입니다.

 

 

이 새로운 지침에 따르면, 미국 비자 신청자들이 SNS에서 지지하거나 옹호하는 활동이 테러와 관련이 있을 경우 비자 발급이 거부될 수 있습니다.

이는 국무부가 ‘테러 옹호’라는 개념을 광범위하게 정의한 결과로, 심사 기준이 더욱 엄격해진 것입니다. 영사관 직원은 각 비자 신청자의 SNS에서 잠재적으로 부정적인 콘텐츠를 찾아내고, 이를 디지털 기록으로 남기도록 되어 있습니다.

 

 

비자 심사 과정의 이와 같은 변화는 특정 집단에 대한 명시적인 지지 없이도 이루어질 수 있으며, 신청자와 해당 조직간의 관계까지 철저히 조사될 수 있습니다.

SNS 게시물이 삭제되거나 수정되더라도 이 기록은 남게 됩니다. 이는 개인의 사생활을 상당히 침해할 수 있는 우려를 낳고 있습니다.

 

 

더욱이, 이 변화는 2023년 10월 7일 하마스의 이스라엘 공격 이후 반(反)유대적 시각과 외국인 학생들에 대한 비자 검토를 더욱 강화하는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미 정부는 국익과 국가 안보를 강조하며, 본국 내에서 정치적 반대 의견에 대한 제어를 시도하는 모습입니다.

 

 

이런 환경에서 학생들은 더욱 조심스러운 SNS 활동이 필요하게 되며, 캠퍼스 내에서 사회적, 정치적 이슈에 대한 논의를 적절히 조정해야 할 것입니다.

특히 팔레스타인 문제나 미국 외교 정책에 대한 비판적인 의견을 게시하는 것조차도 비자 거부의 이유가 될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합니다.

 

 

이와 같은 비자 심사 기준의 강화는 미국 내에서 학업과 취업을 희망하는 외국인 학생들에게 큰 영향을 미칠 것이며, 이러한 변화에 대한 불안과 우려가 커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학생들은 비자의 성공적인 발급과 연장을 위해 SNS의 사용에 있어 더욱 신중해져야 할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변화는 단순한 비자 심사의 조정이 아닌, 미국 내에서의 여러 사회적 갈등을 반영하고 있는 셈입니다.

비자 심사의 변화로 인한 개개인의 사생활 침해와 정치적 압박 우려는 사회적으로도 논란이 될 가능성이 큽니다. 이는 단순히 외국인 학생에게만 해당하는 사항이 아니라, 앞으로의 국제 관계와 국내 정치에서의 다양한 문제를 심화시킬 수 있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