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프로탁 기술, 제넥신의 미래를 열다
제넥신 최재현 대표는 BIX2025에서 바이오프로탁 기술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GX-BP1의 글로벌 기술수출(LO)을 최우선 목표로 제시했습니다. 이는 제넥신의 새로운 성장 동력이 될 바이오프로탁 플랫폼의 상업화를 위한 첫걸음입니다. 최 대표는 GX-BP1의 성공적인 LO와 임상 효능 및 안전성 입증을 통해 바이오프로탁 기술의 가치를 증명하고, 연쇄적인 LO 달성을 이뤄낼 계획을 밝혔습니다. 이는 제넥신이 기술 중심 기업으로 다시 도약하고, 장기적인 성장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입니다. 제넥신은 바이오프로탁 기술을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고, 지속적인 성장을 이끌어갈 비전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GX-BP1, 폐암 치료의 새로운 희망
GX-BP1은 제넥신이 EPD바이오테라퓨틱스 합병 이후 확보한 바이오프로탁 플랫폼의 첫 번째 실증 프로젝트입니다. 폐편평세포암을 적응증으로 개발 중이며, SOX2 단백질을 선택적으로 분해하는 차별화된 작용 기전을 통해 기존 치료제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합니다. 최 대표는 다케다와의 공동 연구를 통해 폐편평세포암 표준 치료제와 병용 시 항암제 내성을 없앨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했으며, 기존 약물로 제거가 어려웠던 SOX2 등 질병 유발 단백질의 생체 내 분해 능력을 입증했습니다. 또한, 안전성이 검증된 지질나노입자(LNP) 기술을 확보하여 GX-BP1의 효능과 안전성을 더욱 높일 계획입니다. GX-BP1은 제넥신의 바이오프로탁 플랫폼 상업화를 검증하는 중요한 시험대가 될 것이며, 폐암 치료 분야에 새로운 희망을 제시할 것입니다.
차세대 TPD 기술, 바이오프로탁의 혁신
제넥신이 개발 중인 바이오프로탁 기술은 기존 화학 기반 프로탁의 한계를 극복한 차세대 표적 단백질 분해(TPD) 기술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이 플랫폼은 나노바디를 활용하여 저분자 화합물로는 제어할 수 없었던 단백질까지 분해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술적 진보성을 입증했습니다. 최 대표는 바이오프로탁이 저분자화합물 E3 리간드를 확보할 필요 없이, 저분자화합물로 결합이 불가한 신규 E3 단백질들을 활용함으로써 동일 타깃에 대해 프로탁보다 우월한 분해능을 보인다고 설명했습니다. 이는 바이오프로탁 기술이 기존 TPD 기술의 한계를 극복하고, 더욱 효과적인 치료법을 개발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줍니다. 바이오프로탁 기술은 아직 상용화된 사례가 없지만, 글로벌 제약사들의 관심이 높으며, 제넥신은 GX-BP1과 GX-BP2를 통해 조기 검증 사례를 만들어내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LO 체결을 위한 제넥신의 전략
최재현 대표는 내년 중 GX-BP1의 글로벌 LO 체결을 목표로, 글로벌 제약사들과의 협상을 가속화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암유발전사인자 SOX2 단백질을 타겟으로 하는 GX-BP1은 많은 글로벌사로부터 개발 초기부터 높은 관심을 받아왔습니다. 제넥신은 올해 말까지 비임상시험관리기준(GLP) 독성시험을 제외한 대부분의 시험 결과를 확보하고, 내년 2분기 또는 늦어도 4분기까지 계약을 체결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최 대표는 GX-BP1의 성공적인 LO를 통해 제넥신의 기술력을 입증하고, 연쇄적인 LO를 달성하여 안정적인 수입을 창출하는 바이오텍으로 도약하겠다는 포부를 밝혔습니다. 제넥신의 이러한 전략은 바이오프로탁 기술의 가치를 극대화하고,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기여할 것입니다.
합병 이후, 제넥신의 R&D 체질 변화
최재현 대표는 EPD바이오테라퓨틱스 합병 이후 R&D 체질 변화를 강조하며, 양사의 기술을 전략적으로 통합하고 시너지를 창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연구인력과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배분하고, 파이프라인 간 개발 우선순위를 재정비하는 등 선택과 집중을 통해 리소스 활용의 효율성을 높였습니다. 기존 제넥신은 단백질의약품 개발 전문성을 보유했지만, 합병 이후 새로운 분야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며 전문성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연구원들의 적극적인 학습 문화를 조성하고, 신기술 습득을 독려함으로써 제넥신이 건강한 바이오텍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제넥신의 R&D 역량을 강화하고, 혁신적인 신약 개발을 위한 기반을 마련할 것입니다.
GX-BP2, 아토피피부염 및 항암 치료의 가능성
제넥신은 GX-BP2를 통해 아토피피부염 및 항암 치료 분야에서의 가능성을 엿보고 있습니다. GX-BP2는 동물모델에서 듀피젠트보다 뛰어난 치료 효과를 보였으며, 임상1상 단계 STAT3 프로탁(KT-333)보다 30배 이상 우월한 STAT3 분해능을 확인했습니다. 최 대표는 GX-BP2가 중증 아토피피부염 치료제 시장 점유율 1위인 듀피젠트보다 뛰어난 생체 내 치료 효능을 입증했다고 강조했습니다. 또한, STAT3 단백질은 항암제 개발 관점에서도 유효한 타겟이므로 향후 항암 적응증으로의 확대를 계획하고 있습니다. GX-BP2의 성공적인 개발은 제넥신의 바이오프로탁 기술력을 입증하고, 다양한 질병 치료 분야로의 확장을 가능하게 할 것입니다.
제넥신, 바이오프로탁 기술을 통해 글로벌 바이오텍으로 도약
제넥신은 GX-BP1의 성공적인 글로벌 LO와 연쇄적인 LO 달성을 통해 바이오프로탁 기술의 글로벌 리더로 자리매김하려는 비전을 제시했습니다. 차세대 TPD 기술인 바이오프로탁 플랫폼을 기반으로 폐암, 아토피피부염, 항암 치료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적인 치료법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EPD바이오테라퓨틱스 합병 이후 R&D 체질을 개선하고, 글로벌 시장 공략을 위한 전략을 수립하여 기술 중심 기업으로의 도약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제넥신의 이러한 노력은 바이오프로탁 기술의 상용화를 앞당기고, 글로벌 바이오텍으로서의 입지를 확고히 하는 데 기여할 것입니다.
자주 묻는 질문
Q.GX-BP1의 글로벌 LO는 언제쯤 체결될 것으로 예상되나요?
A.최재현 대표는 내년 2분기 또는 늦어도 4분기까지 GX-BP1의 글로벌 LO를 체결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Q.바이오프로탁 기술이 기존 치료법과 비교하여 어떤 장점을 가지고 있나요?
A.바이오프로탁 기술은 기존 화학 기반 프로탁의 한계를 극복하고, 나노바디를 활용하여 저분자 화합물로는 제어할 수 없었던 단백질까지 분해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Q.GX-BP2는 어떤 질병 치료에 활용될 수 있나요?
A.GX-BP2는 중증 아토피피부염 치료와 항암 치료 분야에서 가능성을 보이고 있으며, STAT3 단백질을 타겟으로 하여 듀피젠트보다 뛰어난 효능을 입증했습니다.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집값 규제, '우린 왜?' 외침 터져…과잉 규제 논란과 좁아지는 주거 사다리 (0) | 2025.10.17 |
---|---|
강남은 오르고, 노도강은 하락했는데…'규제지역' 지정에 집주인들 '분통' (0) | 2025.10.16 |
캄보디아 범죄 단지 '웬치'의 충격적인 실체: 식당, 병원, 유흥업소까지 갖춘 은밀한 범죄의 공간 (0) | 2025.10.16 |
국민의힘, 김병기 '잠실 아파트' 공세: '내로남불' 꼬리표, 부동산 논쟁 점화 (0) | 2025.10.16 |
주한미군, 특검 오산기지 압수수색에 '경고': 한미 동맹, 어디로? (1) | 2025.10.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