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연금의 게임주 투자 변화: 시프트업 매도, 넷마블 등 매수
국민연금공단이 게임주 시프트업의 지분율을 5%대로 낮췄습니다. 국민연금은 올해 엔씨소프트, 넷마블, 더블유게임즈 등 게임주를 매입했지만, 시프트업은 두 차례에 걸쳐 매각했습니다.
시프트업 주식 매각 배경: 주가 하락과 성장 모멘텀 부족
국민연금은 올해 6월 12일, 7월 28일 각각 60만 3367주(1.02%), 60만 4236주(1.02%)의 시프트업 주식을 매도했습니다. 시프트업의 대표 캐시카우인 '승리의 여신: 니케'가 중국에 론칭되었지만, 기대에 미치지 못했고, 신작을 비롯한 성장 모멘텀이 부족해 주가가 하락했습니다.
시프트업 주가 하락: 매입가 밑도는 매각
국민연금이 지난해 시프트업 지분을 처음으로 매입했던 시점의 주가는 6만~7만원을 오갔으며, 추가 매수 시 주가는 5만 6000원이었습니다. 그러나 올해 6월과 7월 시프트업 주식을 매각한 가격은 각각 5만 2700원, 4만 1950원으로 매입가를 밑돌았습니다.
성장 가능성에 주목: 넷마블, 엔씨소프트 등 게임주 추가 매입
국민연금은 올해 크래프톤, 엔씨소프트, 넷마블, 더블유게임즈의 지분을 추가로 매입했습니다. 국민연금이 올해 게임주 투자를 늘린 건 성장 잠재력을 높게 평가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넷마블의 성장 동력: 신작 출시와 자체 IP 기반 게임 흥행
넷마블은 자체 지식재산권(IP)을 바탕으로 만든 신작 'RF 온라인 넥스트', '세나 리버스', '뱀피르' 등이 연이어 흥행한 데다 내년 신작을 줄줄이 출시할 예정입니다.
엔씨소프트, 크래프톤, 더블유게임즈의 성장 전략
엔씨소프트는 포커스그룹테스트(FGT) 등에서 호평받은 '아이온2' 출시를 앞두고 있고, 크래프톤은 '서브노티카2'와 '팰월드모바일'을 출시할 예정입니다. 더블유게임즈의 경우 주력 사업인 소셜카지노 외 신사업이 빠른 속도로 성장 중입니다.
국민연금의 게임주 투자 전략 분석 및 전망
국민연금은 시프트업 매도를 통해 주가 하락과 성장 모멘텀 부족에 대응하고, 넷마블, 엔씨소프트 등 성장 잠재력이 높은 게임주에 투자를 집중하고 있습니다. 이는 국민연금의 안정적인 수익 추구와 성장 가능성을 동시에 고려한 전략으로 풀이됩니다.
자주 묻는 질문
Q.국민연금이 시프트업 주식을 매도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A.시프트업의 주가 하락과 성장 모멘텀 부족 때문입니다.
Q.국민연금이 넷마블, 엔씨소프트 등의 게임주를 매수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A.성장 잠재력을 높게 평가했기 때문입니다.
Q.국민연금의 게임주 투자 전략은 무엇을 의미하나요?
A.안정적인 수익 추구와 성장 가능성을 동시에 고려한 전략입니다.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민의힘, 김병기 '잠실 아파트' 공세: '내로남불' 꼬리표, 부동산 논쟁 점화 (0) | 2025.10.16 |
---|---|
주한미군, 특검 오산기지 압수수색에 '경고': 한미 동맹, 어디로? (1) | 2025.10.16 |
신혼여행 첫날, '월 200' 비하 발언과 폭언… 그들은 왜 선을 넘었나? (0) | 2025.10.16 |
1조 3,808억 재산분할 '파기환송'… 최태원-노소영 이혼 소송, 무엇이 남았나? (0) | 2025.10.16 |
코스피, 이틀 연속 최고치 경신! '10만 전자' 눈앞, 투자 심리 뜨겁게 달군 이유는? (0) | 2025.10.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