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릉, 역대 최저 저수율 기록하며 심각한 가뭄 직면
극심한 가뭄으로 인해 강릉의 상수원 저수율이 역대 최저인 13%대로 떨어졌습니다. 이러한 심각한 상황은 해경 독도 경비함의 지원을 시작으로 산림청과 군 헬기까지 투입되는 등 민·관·군의 총력전을 불러일으켰습니다. 그러나 가뭄은 쉽게 해소되지 않았고, 강릉시는 결국 제한 급수 조치를 시행하기로 결정했습니다.
헬기 급수 지원: 산림청, 군, 그리고 1,600톤의 물
상황의 심각성을 보여주듯, 산림청 대형 헬기 2대가 오봉저수지에 8톤의 물을 쏟아붓는 것을 시작으로 육군 헬기들 또한 5톤의 물을 투하하며 급수 지원에 나섰습니다. 총 9대의 헬기가 투입되어 10km 떨어진 저수지에서 물을 공급했으며, 한 대당 4시간 동안 최대 30여 차례 왕복하며 1,600여 톤의 물을 공급했습니다. 이는 소방 물탱크차 270대 분량에 달하는 엄청난 양입니다.
생수 배부와 시민들의 노력
수돗물 사용을 줄이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생수 배부에는 '드라이브스루' 방식까지 동원되었습니다. 이는 시민들이 차량으로 편리하게 생수를 수령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가뭄으로 인한 불편을 조금이나마 덜어주기 위한 시도였습니다.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저수율은 좀처럼 회복되지 못했습니다.
제한 급수 시행: 아파트와 숙박시설의 고통
총력전에도 불구하고 오봉저수지 저수율은 연일 역대 최저치를 기록하며, 13%마저 위협받는 상황에 이르렀습니다. 물 사용량 감소 효과가 미미하자, 강릉시는 불가피하게 아파트와 대형 숙박시설 123곳에 대해 정수장 물 공급 밸브를 잠그는 제한 급수를 시행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이는 시민들의 생활에 직접적인 불편을 초래할 수 있는 조치입니다.
강릉시장의 발표와 정부의 지원
김홍규 강릉시장은 제한 급수 시행의 불가피성을 설명하며, 시민들의 이해를 구했습니다. 또한, 김민석 국무총리가 가뭄 현장을 방문하여 중앙정부 차원의 지원을 약속했습니다. 강릉시는 저수율이 10% 아래로 떨어질 경우 심야 단수 및 격일 제한 급수까지 고려하고 있어, 앞으로의 상황이 더욱 우려됩니다.
향후 전망: 추가적인 조치의 가능성
강릉시는 현재 상황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저수율 추가 하락에 대비하여 다양한 추가 조치를 고려하고 있습니다. 10% 이하로 저수율이 떨어질 경우, 심야 단수 및 격일 제한 급수와 같은 더욱 강력한 조치가 시행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조치들은 시민들의 일상생활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시민들의 적극적인 물 절약 노력이 절실합니다.
가뭄으로 인한 강릉의 위기: 제한 급수 시행과 앞으로의 과제
강릉시는 극심한 가뭄으로 인해 역대 최저 저수율을 기록하며 위기에 직면했습니다. 헬기 급수 지원 등 총력전에도 불구하고 상황이 악화되자, 결국 아파트와 숙박시설에 대한 제한 급수를 시행하게 되었습니다. 정부의 지원 약속과 함께 시민들의 물 절약 노력이 절실하며, 앞으로의 상황에 따라 추가적인 조치가 불가피할 것으로 보입니다.
자주 묻는 질문
Q.강릉시의 가뭄 상황은 얼마나 심각한가요?
A.강릉시는 극심한 가뭄으로 인해 상수원 저수율이 역대 최저인 13%대로 떨어졌으며, 헬기 급수 지원에도 불구하고 아파트와 숙박시설에 대한 제한 급수를 시행할 정도로 심각한 상황입니다.
Q.제한 급수는 어떤 방식으로 시행되나요?
A.강릉시는 아파트와 대형 숙박시설 123곳에 대해 정수장 물 공급 밸브를 잠그고, 급수 차량으로 각 건물 저수조에 물을 채우는 방식으로 제한 급수를 시행할 예정입니다.
Q.앞으로의 전망은 어떤가요?
A.강릉시는 저수율이 10% 아래로 떨어질 경우 심야 단수 및 격일 제한 급수까지 고려하고 있으며, 시민들의 물 절약 노력이 절실한 상황입니다.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재명 대통령, 인천 용현시장 깜짝 방문! 상인들 “소비쿠폰 덕분에 숨통 트였다” (1) | 2025.09.05 |
---|---|
5천 원으로 저녁 밥상 뚝딱! 이마트 '5K PRICE' 초저가 전략, 성공할 수 있을까? (1) | 2025.09.05 |
논란의 중심, '관봉권 띠지' 미스터리: 검찰 수사관의 답변, 그리고 남은 의문점들 (0) | 2025.09.05 |
오세훈 시장, 소비쿠폰 정책에 '쓴소리'… 3500억 빚더미 현실화, 서울시 재정 악화 우려 (0) | 2025.09.05 |
해군 함정 해상 술파티 의혹, 특검, 경호처 압수수색…진실은? (0) | 2025.09.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