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도, 대한민국 전복 생산의 심장
추석을 앞두고 완도타워에서 바라본 완도 앞바다는 그야말로 장관입니다. 29일, 탁 트인 남해 바다 위로 컴퓨터 키보드 모양의 구조물들이 눈에 들어왔습니다. 바로 완도 전복 양식장의 모습입니다. 완도는 매년 전국 전복 생산량의 70% 이상을 차지하며, 그 양은 무려 1만 6000t에 달합니다. 완도 양식장은 축구장 4만 8860개 크기에 달하며, 전복뿐만 아니라 김, 미역, 다시마 등 해조류도 연간 88만여 t이나 생산합니다. 이는 전국 해조류 생산량의 50%에 해당합니다.
20년 만에 13배 성장, 완도 전복 양식의 놀라운 발전
2005년 236㏊ 규모였던 완도 전복 가두리는 현재 3093㏊로 20년 만에 13배 이상 성장했습니다. 이러한 완도의 대규모 양식장은 미국 항공우주국(NASA)에도 알려져 그 중요성을 인정받았습니다. NASA는 2021년 4월 23일, 인공위성으로 촬영한 지구 사진을 소개하는 ‘지구 전망대’ 사이트에 완도 양식장 사진을 게재하며 그 가치를 조명했습니다. 당시 랜싯8 인공위성이 촬영한 사진에서는 완도 양식장이 점선처럼 흩어져 있는 모습이 담겼습니다. NASA는 완도의 기온과 조수 환경이 다시마, 김, 미역을 기르기에 이상적이라고 평가했습니다.
전복 양식, 혁신의 역사를 쓰다
완도 전복 양식의 역사는 1981년부터 시작되었습니다. 당시 완도어촌지도소의 어촌지도사였던 신우철 완도군수는 채롱(採籠)을 이용한 국내·외 최초의 전복 양식에 성공하며 혁신의 시작을 알렸습니다. 신 군수는 80년대 초반, 전복을 줄에 묶어 먹이를 주는 방식을 착안하여 양식 기술을 발전시켰습니다. 이 기술은 이후 가두리 양식으로 이어지며 전복 생산량의 폭발적인 증가를 이끌었습니다.
가두리 양식의 혁신과 전복 생산량의 폭발적 증가
채롱 양식 성공 이후, 전복 양식 기술은 가두리 양식으로 발전하며 획기적인 변화를 맞이했습니다. 90년대부터 바다 그물망에서 키우는 가두리 양식이 시작되었고, 2000년부터는 현재의 4줄식 가두리 양식이 정착되었습니다. 가두리 칸마다 양식 공간을 4배까지 늘린 기술 발전은 전복 생산량의 급증을 이끌었습니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에 따르면, 1990년 2t 수준이던 국내 양식 전복 생산량은 가두리 양식 초기인 1998년 78t으로 증가했습니다.
300배 증가의 신화, 전복 대중화의 길을 열다
가두리 양식 도입 이후, 전복 생산량은 폭발적으로 증가했습니다. 2006년 679t에서 시작하여 지난해에는 2만 3317t까지 급증했습니다. 신우철 군수가 가두리 양식을 도입한 후 전복 양식량은 무려 300배나 증가했습니다. 전복 양식 전인 45년 전과 비교하면 생산량은 2만 3000배 이상 늘어났습니다. 이러한 생산량 증가는 전복 가격 하락으로 이어졌고, ‘환자만 먹을 수 있다’는 옛말을 무색하게 만들며 전복의 대중화를 이끌었습니다.
전복 가격 하락과 해결 과제
전복 생산량의 증가는 가격 하락을 가져왔지만, 과잉 생산으로 인한 어려움도 발생했습니다. 출하 주기가 단축되고, 태풍과 고수온으로 인한 폐사 위험으로 어민들은 6월에 ‘홍수 출하’를 하는 현상이 나타났습니다. 완도군은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해 전복 수출 확대와 가정간편식(HMR) 제품 개발에 힘쓰고 있습니다. 국내산 전복 수출량은 2020년 1355t에서 지난해 2185t으로 매년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AI 기술을 통한 지속 가능한 전복 양식의 미래
완도군은 지속 가능한 전복 양식을 위해 ‘인공지능(AI) 수산양식 플랫폼’ 구축에 나섰습니다. 양식장에 수중 카메라와 지능형 IoT 센서를 설치하여 스마트 양식 환경을 조성하는 사업입니다. 완도군은 7억 5000만원을 투입하여 양식장별 데이터 시각화 및 빅데이터 분석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신우철 군수는 AI 양식을 통해 전복의 홍수 출하를 막고, 가격 안정과 어민 소득 증대를 기대하며, 전복 양식의 제2 혁명을 예고했습니다.
완도 전복 양식, 혁신과 기술로 이룬 300배 성장의 드라마
완도 전복 양식은 NASA의 주목을 받을 만큼 혁신적인 기술과 노력을 통해 300배에 달하는 놀라운 성장을 이루었습니다. 가두리 양식 도입, AI 기술 활용 등 끊임없는 변화를 통해 전복의 대중화를 이끌고, 지속 가능한 양식 산업의 미래를 열어가고 있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
Q.완도 전복 양식의 성공 요인은 무엇인가요?
A.가두리 양식 기술 도입, AI 기술 활용, 그리고 완도의 이상적인 해양 환경이 성공의 주요 요인입니다.
Q.AI 양식 플랫폼은 무엇을 목표로 하나요?
A.AI 양식 플랫폼은 전복의 홍수 출하를 막고, 가격 안정 및 어민 소득 증대를 목표로 합니다.
Q.완도 전복의 미래는 어떻게 전망되나요?
A.AI 기술을 통한 스마트 양식 환경 구축, 수출 확대, HMR 제품 개발 등을 통해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룰 것으로 전망됩니다.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버랜드 케데헌 분식 세트, 3만 8천 원? 가격 논란과 숨겨진 매력 탐구 (1) | 2025.10.03 |
---|---|
인천공항, 추석 연휴 혼잡 우려 덜었다: 보안검색 요원들의 추가 근무 결정 (0) | 2025.10.03 |
키 205cm, 12세 배구 유망주 용지훈: 한국 배구 미래를 짊어질 슈퍼 루키의 등장 (0) | 2025.10.03 |
이진숙 체포, 정치 보복 논란 점화: 국민의힘 '분노' vs 민주당 '사필귀정' (0) | 2025.10.02 |
법원의 '윤 보석 기각', 그 이유는 무엇일까? 핵심 쟁점과 향후 전망 (0) | 2025.10.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