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화 가치,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최저 수준으로
지난달 한국 원화의 실질 가치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최저 수준으로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달 들어 원·달러 환율이 급등세를 이어가면서 국제 교역에서 원화의 구매력도 더 하락할 전망이 우세합니다.

실질실효환율, 무엇을 의미하는가?
한국은행과 국제결제은행(BIS)에 따르면 한국의 실질실효환율(REER) 지수는 올해 10월 말 기준 89.09(2020=100)로 집계됐습니다. 전달보다 1.44포인트(p) 낮아진 것으로, 2009년 8월(88.88) 이후 16년 2개월 만의 최저치입니다.

비상계엄 때보다 더 낮은 원화 가치?
비상계엄 사태 여파로 국내 불확실성이 극대화됐던 지난 3월(89.29)보다도 더 낮은 수준입니다. 실질실효환율은 특정 국가의 통화가 주요 교역국 통화 대비 어느 정도 실질 구매력을 갖고 있는지를 평가하는 지표로, 100 미만이면 통화 가치가 저평가된 상태로 해석됩니다.

원화, 64개국 중 하위권… '최약체 통화' 흐름 지속
지난달 한국의 실질실효환율 수준은 BIS 통계에 포함된 국가 중 일본(70.41), 중국(87.94)에 이어 세 번째로 낮았습니다. 10월 한 달간 하락 폭(-1.44p)은 뉴질랜드(-1.54p)에 이어 64개국 가운데 두 번째로 컸습니다.

원화 약세, 왜 이렇게 심화되는가?
박지훈 하나은행 자금시장본부 팀장은 “위험 회피 심리 속에 달러 수요가 늘었고, 국내 투자자의 미국 주식 매수가 겹치며 원화 약세 압력이 유독 강해졌다”고 분석했습니다. 그는 “물가 상승률이 상대적으로 낮게 유지되는 것도 실질실효환율 하락 요인”이라고 설명했습니다.

1500원 돌파 가능성, 현실로 다가올까?
시장에서는 원·달러 환율이 1500원대 진입 가능성을 점치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습니다. 환율은 21일 장중 1476.0원까지 급등해, 올해 4월 초(1487.6원)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습니다.

전문가들의 전망, 그리고 우리가 주목해야 할 점
박형준 우리은행 이코노미스트는 “연준(Fed)이 다음 FOMC에서 예상보다 매파적 결정을 내릴 경우 달러 강세가 더 강화될 수 있다”며 “일본의 확장 재정 정책에 따른 엔화 약세도 환율 상단을 자극할 것”이라고 내다봤습니다. 그는 “이런 요인이 동시에 작용하면 1500원대 방어도 쉽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습니다.

원화 가치 하락, 1500원 시대 임박? 핵심 요약
원화 가치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최저 수준으로 떨어지고 있으며, 1500원 돌파 가능성까지 제기되고 있습니다. 위험 회피 심리와 미국의 금리 인상, 일본 엔화 약세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원화 약세를 부추기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1400원대가 '뉴노멀'이 될 수 있다고 전망하며, 정부 개입만으로는 환율 흐름을 되돌리기 어려울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 원화 가치 하락에 대한 궁금증 해결!
Q.원화 가치가 하락하면 우리에게 어떤 영향이 있나요?
A.원화 가치 하락은 수입 물가 상승을 유발하여 물가 상승 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해외여행이나 유학 등의 비용이 증가하며, 국내 자산의 가치가 상대적으로 하락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Q.정부의 개입은 환율 상승을 막을 수 없나요?
A.전문가들은 정부 개입만으로는 환율 흐름을 완전히 되돌리기 어렵다고 보고 있습니다. 환율은 다양한 글로벌 경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기 때문에, 정부의 개입은 제한적인 효과를 가질 수 있습니다.
Q.앞으로 환율은 어떻게 될까요?
A.전문가들은 1400원대가 '뉴노멀'이 될 수 있다고 전망하며, 1500원대 진입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보고 있습니다. 미국의 금리 인상, 일본 엔화 약세 등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환율 변동성을 키울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집주인도 알고 싶다! 임차인 정보공개 확대 요구, 부동산 시장의 새로운 갈등? (0) | 2025.11.23 |
|---|---|
| 송언석, '이재명 정권 공직기강 붕괴' 맹비난: 국민의 신뢰를 잃은 정책실장, 책임 있는 거취를 요구하다 (0) | 2025.11.23 |
| 명륜진사갈비, 가맹점주 울린 고금리 대출…진실은? (0) | 2025.11.23 |
| 검찰 개혁의 그림자: '자포자기'에 빠진 검찰, 이대로 괜찮은가? (0) | 2025.11.23 |
| 한라산 '테러' 사건, 중국인 관광객의 무례한 행동, 그리고 우리가 해야 할 일 (0) | 2025.1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