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절, 즐거움 뒤에 숨겨진 그림자
경기 분당에 사는 김모 씨(38)는 추석을 앞두고 요 며칠 밤잠을 설쳤다. 뉴스에선 “차례를 지내지 않고 여행을 떠나는 분위기”라고 떠들지만, 김 씨에게는 그저 딴 세상 이야기다. 그는 명절이면 시할머니부터 시조카까지 15명 안팎의 4대가 경북 경주 본가로 모이는 대가족의 맏며느리다. 손가락 몇 번만 움직이면 차례음식이 집까지 배달되는 시대인데도 ‘정성’을 강조하는 어르신들 앞에선 ‘그림의 떡’일 뿐이다.
차례, 짊어져야 할 무게
김 씨는 “긴 연휴에 여행을 간다는 팀원들이 부럽다”고 했다. 민족 대명절, 추석이 마냥 즐겁지 않은 사람들이 있다. 세대 교체 등으로 명절에 온가족이 떠들썩하게 모이는 분위기가 많이 사라졌다고는 하나, 여전히 대가족이 본가에 모여 차례를 지내는 집은 남아 있다. 최근 성인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한 설문조사에서 응답자의 64.8%는 ‘차례를 지내지 않는다’고 했다.
온라인에서도 불붙는 명절 갈등
실제 추석을 일주일 여 앞둔 9월 말 기혼 여성들이 많이 모인 지역 커뮤니티 등에는 “이번엔 꼭 여행가고 싶었는데 올해도 실패. 차례상 안 차리면 전쟁이라도 나는 건가” “당연히 해야 한다? 이것도 가스라이팅 아니냐” 등의 격한 반응이 이어졌다.
명절, 여성과 남성 모두에게 고통?
명절 가사 노동에 대한 불만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하지만 어릴 적부터 차별 없이 자라온 세대인 20~30대 젊은층의 반감은 한층 거세다. 서울 강동구에 사는 최모 씨(31)는 “우리집에서도 차례상을 차려본 적이 없는데 결혼 후 시가에서 이른 아침부터 차례상을 차릴 생각만 하면 스트레스를 받는다”고 토로했다.
남성, 맏아들로서의 고뇌
요즘은 남성들도 명절 스트레스에서 자유롭지 않다. 명절 연휴에 수 시간을 운전해 본가에 내려가고도 음식을 만드는 아내의 눈치를 살피느랴 제대로 쉬지도 못한다는 불만이다. 특히 차례를 책임져야 할 위치에 있는 맏아들의 반발은 늘어만 가고 있다. 장손인 정모 씨(41)는 “아버지가 내년부턴 우리집에서 차례를 지내라는 데 장손이라는 이유만으로 이걸 왜 떠안아야 하는지 모르겠다”며 “아내와 함께 책임지고 준비해야 하는 것도 부담스럽고 1년에 2번씩 우리집에 모이는 친척들의 식사를 차리는 것도 결코 만만치 않게 느껴진다”고 토로했다.
차례상 비용, 부담스러운 현실
한국물가협회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에 따르면 올해 추석 차례상 비용은 28만4010원이다. 경기 화성에 사는 박모 씨(40)는 “(본가인) 전주까지 왕복 주유비에 부모님 용돈, 차례상 비용, 조카들 용돈 등으로 명절마다 100만 원가량 쓰고 오는 것 같다”며 “제일 아까운 게 차례상 비용”이라고 꼽았다. 그는 “차례 지내고 남은 음식은 잔뜩 싸주시는 데 집에서 밥을 자주 해먹지 않으니까 냉동고에 수개월간 쌓아두다 버리게 되면 너무 아깝다”며 “과일 1~2가지에 술 정도만 올려도 될텐데 어르신들 고집을 꺾을 수가 없다”고 고개를 가로저었다.
핵심만 콕!
명절, 가족의 소중함을 되새기는 시간이어야 하지만, 며느리와 맏아들에게는 고된 노동과 경제적 부담으로 다가오기도 한다. 시대 변화에 따라 차례에 대한 인식도 변화하고 있으며, 형식보다는 조상을 기리는 마음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유연한 사고방식과 가족 간의 소통을 통해 명절 문화를 재정립할 필요가 있다.
독자들의 Q&A
Q.차례를 꼭 지내야 할까요?
A.김미영 한국국학진흥원 수석연구위원은 “예법에서 다소 벗어나더라도 조상에 대한 마음만 있으면 어디에서 차례를 지내던 상관 없다”고 말하며, 형식에 얽매이지 않고 조상을 기리는 마음이 중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Q.차례상 비용이 부담스러운데요?
A.차례상 비용은 해마다 상승하는 추세이며, 넉넉하지 않은 주머니 사정으로 인해 부담을 느끼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전문가들은 차례상의 규모를 줄이고, 가족 간의 합의를 통해 비용을 절감하는 방안을 제시합니다.
Q.명절 문화, 어떻게 바뀌어야 할까요?
A.형식적인 부분에 얽매이기보다는 가족 간의 소통을 통해 각자의 상황에 맞는 방식으로 명절 문화를 만들어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시대의 변화에 맞춰 유연하게 전통을 계승하고, 가족 모두가 즐거운 명절을 만들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당 '계란 후라이' 논란: '아가씨, 나도 해줘' 요구, 불쾌함과 공감 불러일으키다 (0) | 2025.10.06 |
---|---|
케데헌 굿즈, 중고 시장을 뜨겁게 달구다: 350% 급증의 비밀 (0) | 2025.10.06 |
단 하루의 기회, 10일 증시 개장! 40만 닉스, 9만 전자 바통을 이어받을까? (0) | 2025.10.06 |
김정은, '북한판 이지스함' 최현호 시찰... NLL 전자해도 띄우고 해군력 강조 (0) | 2025.10.06 |
80억 사기, '현금 뭉치'로 유혹… 고수익 미끼에 130명 낚였다 (0) | 2025.10.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