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900원 반팔티의 역습: 워크업, 성수·명동을 점령하다! 가성비 패션의 놀라운 성장
가성비 열풍, 패션 시장을 뒤흔들다
소비 위축이 장기화하고 고물가 기조가 지속되면서, 국내 패션 시장에 '초저가 바람'이 거세게 불고 있습니다. 부담 없는 가격과 기본에 충실한 디자인을 앞세운 가성비 브랜드들이 패션업계의 침체와 대조적으로 선전하는 모습입니다. SPA(제조·유통일괄) 브랜드를 중심으로 한 저가형 패션의 약진이 대표적입니다.
워크업, 1년 만에 130개 매장 돌파! 성공 비결은?
15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워크웨어 콘셉트의 가성비 브랜드인 '워크업(WORKUP)'은 빠른 성장세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지난해부터 본격적으로 매장 확장에 나선 워크업은 1년여 만에 매장 수를 130개 이상 늘렸습니다. 서울 성수와 명동, 홍대 등 주요 상권에 직영점을 잇달아 열고 유동인구가 많은 지역을 중심으로 브랜드 인지도를 빠르게 높이고 있습니다.
튼튼한 소재, 기본 디자인, 그리고 놀라운 가격
워크업의 인기 요인은 명확하다. 튼튼한 소재와 기본에 충실한 디자인, 부담 없는 가격대다. 기능성과 실용성을 강조한 워크웨어 제품군이지만, 일상에서도 활용하기 좋은 디자인이 소비자들에게 호응을 얻고 있습니다. 합리적인 가격에 충실한 품질이 소비자 사이에서 입소문을 타며, 20~30대 MZ세대뿐 아니라 실속형 소비를 중시하는 40대 고객까지 고객층을 넓혀가고 있습니다.
가성비 브랜드의 경쟁력: 효율적인 생산과 단순 유통
패션업계 관계자는 "고가 브랜드들은 원가와 마케팅 비용 때문에 가격을 쉽게 낮출 수 없는 반면 가성비 브랜드들은 효율적인 생산과 단순한 유통 구조를 바탕으로 가격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며 "워크웨어 기반 브랜드들은 튼튼한 품질과 합리적 가격이라는 무기를 앞세워 소비자의 선택을 받고 있다"고 말했다.
SPA 브랜드의 약진: 에잇세컨즈, 필리핀 시장 진출
국내 SPA 브랜드의 강세는 워크업만의 얘기는 아닙니다. 대표적으로 삼성물산 패션부문이 판매하는 에잇세컨즈(8SECONDS) 브랜드는 국내에서는 기존 매장 운영을 강화하는 한편 필리핀 시장에 진출하며 아시아 권역에서 다방면의 사업 기회를 모색해 나가고 있습니다. 에잇세컨즈는 필리핀 마닐라에 있는 초대형 쇼핑몰 'SM 몰 오브 아시아 매장을 시작으로 올해 하반기 동안 마닐라 지역에서 3호점 매장까지 열 계획입니다.
가성비 소비 트렌드의 지속: 패션 시장의 미래
소비자들의 '가성비' 소비 패턴이 일시적인 유행을 넘어 일상화되면 패션업계 내에서 가격 대비 가치를 중시하는 브랜드들의 약진은 계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기존 패션업체들이 고전하는 사이 워크업과 같은 가성비 브랜드들의 성장세는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입니다.
NC베이직, 유니클로, 탑텐, 스파오: 가성비 브랜드의 성공 신화
실제로 이랜드리테일이 올해 초 선보인 SPA 브랜드 NC베이직도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NC베이직은 전체 제품의 80%가량이 3만원 이하로 기존 SPA 브랜드 제품보다 저렴한 가격을 경쟁력으로 앞세우고 있습니다. 대형 SPA 브랜드 역시 좋은 실적을 거두고 있습니다. 유니클로는 지난해 연매출 1조601억원을 기록하며 '1조 클럽'에 재입성했습니다. 탑텐은 지난해 매출이 전년 대비 약 8% 증가한 9700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이랜드리테일 전통 SPA 브랜드 스파오 역시 약 6000억원의 매출로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했습니다.
가성비, 패션 시장의 새로운 트렌드를 만들다
저렴한 가격과 튼튼한 품질을 앞세운 워크업을 비롯한 가성비 브랜드들의 약진은 고물가 시대, 소비 침체 속에서 패션 시장의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고 있습니다. SPA 브랜드들의 선전과 함께 가성비 소비는 이제 일시적인 유행이 아닌, 패션 시장의 중요한 트렌드로 자리 잡을 것입니다.
자주 묻는 질문
Q.워크업의 인기 비결은 무엇인가요?
A.튼튼한 소재, 기본에 충실한 디자인, 그리고 합리적인 가격이 워크업의 성공 요인입니다.
Q.가성비 브랜드의 경쟁력은 무엇인가요?
A.효율적인 생산과 단순한 유통 구조를 통해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는 것이 가성비 브랜드의 핵심 경쟁력입니다.
Q.앞으로 패션 시장은 어떻게 변화할까요?
A.가성비 소비가 일상화되면서, 가격 대비 가치를 중시하는 브랜드들의 약진이 계속될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