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5원 동전주에서 60만원 국민주로: SK하이닉스, 역전 드라마의 비밀
절망에서 희망으로: SK하이닉스의 놀라운 성장
약 25년 전 한 기업에 쏟아졌던 비난입니다. 주인공은 바로 지금 한국 주식시장에서 가장 뜨거운 기업 SK하이닉스입니다. SK하이닉스의 주가는 2000년대 초반 한때 125원까지 떨어져서 ‘국민 동전주(1000원 이하의 주식을 일컫는 말)’라는 별명이 붙기도 했습니다. 증자, 분할 등을 감안한 현재 주가 기준으로 환산할 경우 2600원 수준이었습니다. 지금 주가는 약 230배 올랐습니다. 비교적 최근인 2016년 대비해서도 20배나 올랐습니다.

위기의 시작: 부채와 구조조정의 그림자
하이닉스의 전신은 1983년 설립된 현대전자입니다. 초기 현대전자는 지금의 삼성전자처럼 반도체부터 완성제품까지 여러 가지를 만드는 회사였습니다. 휴대전화, 컴퓨터는 물론 맥스터라는 회사를 인수해 하드디스크드라이브(HDD)까지 만들었죠. 하지만 1998년 IMF(국제통화기금) 금융위기로 국내 산업별로 대규모 구조조정이 이뤄졌는데요. 반도체 기업 중 1위 삼성전자를 제외한 현대반도체와 LG반도체가 구조조정 대상에 오릅니다.

워크아웃과 생존 전략: 뼈를 깎는 노력
결국 당시 ‘왕자의 난’으로 조각조각난 현대그룹이 결국 현대전자 경영에서 손을 떼고 이사회 중심으로 운영되는 ‘하이닉스’가 2001년 출범합니다. 새롭게 출범한 하이닉스의 최우선 목표는 다름 아닌 ‘해외 매각’이었습니다. 당시만 해도 1998년 금융위기 영향으로 기업 재무구조 건전화와 시장 논리에 따른 구조조정이 절대적인 진리였던 상황. 한국 경제의 대외신인도를 하락시키는 하이닉스를 매각해야 한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공통적인 의견이었습니다.

SK그룹 인수와 새로운 도약의 발판
채권단에 원금을 돌려주고 정상적인 지배구조로 가기 위해서라도 채권단 지분 매각이 필요했는데요. 2008년부터 진행된 매각 작업에서 최종 인수 후보는 SK그룹과 STX그룹이었습니다. 우여곡절 끝에 2011년 M&A(인수·합병)의 전문가였던 SK그룹이 하이닉스를 거머쥐게 됐습니다. 이 과정에서 최태원 SK그룹 회장의 결단이 이뤄졌습니다. 그는 인수가 사실상 확정된 2011년 11월 이천 본사를 찾아서 “SK그룹 회장으로 하이닉스를 반드시 성공시키겠다”고 말하기도 했습니다.

HBM: SK하이닉스 성공 신화의 주역
지금은 주식투자를 하는 사람이면 모두가 알고 있는 제품인 HBM(고대역폭메모리). 2025년 2분기 기준 SK하이닉스가 D램 세계 1위가 되는 데 가장 큰 기여를 한 제품입니다. HBM이 일반 D램에 비해 가격이 5배나 높기 때문에 엔비디아에 공급되는 HBM3E 제품의 75%를 독식한 SK하이닉스가 이를 공급하지 못하는 삼성전자를 꺾고 D램 시장 1위를 차지한 것이죠. 그런데 이 HBM이 빛을 보는 데는 자그마치 10년이 걸렸습니다.

10년간의 끈기와 기술 혁신의 결실
하지만 엔지니어 중심 조직이었던 SK하이닉스는 HBM이 AI 학습에 필수적이고 결국에는 큰 시장을 만들 것이라고 믿고 있었습니다. 결국 SK하이닉스는 당시 엔비디아의 요구에 맞춰 차세대 HBM 개발에 성공하고 HBM3부터는 엔비디아의 주력 공급사가 됩니다. 2022년 11월 챗GPT가 등장하기 전까지는 엔비디아도 SK하이닉스도 AI반도체 시장이 폭발할 거라고는 예상하지 못했습니다. 2023년 엔비디아에 대한 GPU 주문이 폭주하기 시작하자 모든 것이 달라졌습니다. 엔비디아가 요구하는 HBM 생산량을 맞출 수 있는 회사는 일찍부터 준비를 해놓은 SK하이닉스뿐이었습니다.

SK하이닉스, 역경을 딛고 일어선 불굴의 기업
SK하이닉스는 부채와 위기 속에서도 끊임없는 혁신과 기술 투자를 통해 현재의 성공을 이뤄냈습니다. HBM 개발을 위한 10년간의 노력, SK그룹 인수 후의 과감한 투자, 그리고 엔지니어 중심의 기업 문화가 어우러져 SK하이닉스는 반도체 시장의 선두 주자로 자리매김했습니다.

SK하이닉스에 대한 궁금증, 속 시원하게 풀어드립니다!
Q.SK하이닉스가 흑자 전환에 성공할 수 있었던 비결은 무엇인가요?
A.극단적인 비용 절감과 인력 감축을 통해 흑자 전환에 성공했습니다. 또한, 메모리 반도체 시장에서 마이크론을 제치고 2위로 올라서며 경쟁력을 입증했습니다.
Q.SK하이닉스가 HBM 시장에서 성공할 수 있었던 주요 요인은 무엇인가요?
A.엔지니어 중심의 조직 문화, 10년간의 꾸준한 기술 개발, 그리고 엔비디아의 요구에 발맞춘 적극적인 투자가 HBM 성공의 핵심 요인입니다.
Q.SK하이닉스의 미래는 어떻게 전망되나요?
A.AI 반도체 시장의 성장과 함께 HBM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SK하이닉스는 기술 경쟁력을 바탕으로 반도체 시장에서 더욱 강력한 입지를 다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