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 美 관세 해결 시급 강조: 금융 위기 가능성 경고와 북핵 해법 제시
관세 문제, 조속한 해결을 위한 노력
이재명 대통령은 로이터 통신과의 인터뷰에서 한국과 미국 간의 관세 문제를 가능한 한 조속히 해결하려는 목표를 갖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3천500억 달러 규모의 대미 투자에 대한 상업적 타당성 보장 문제로 양국 간 이견이 있음을 언급하며, 상업적 합리성을 보장하는 구체적인 합의에 도달하는 것이 현재의 핵심 과제라고 강조했다. 이는 양국 간의 가장 큰 걸림돌로 남아있기 때문이다.
금융 위기 가능성과 미국의 요구
이 대통령은 한미 간 통화 스와프 없이 미국이 요구하는 방식으로 3천500억 달러를 인출해 전액 현금으로 투자할 경우, 한국이 1997년 금융위기와 같은 상황에 직면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그는 일본의 외환보유액 규모 등을 예시로 들며 한국은 일본과 상황이 다르다고 강조했다. 한미 간 투자 프로젝트는 상업적으로 실행 가능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며, 세부 사항 조율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설명했다.
북핵 문제에 대한 현실적인 해법 제시
이 대통령은 BBC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북한 비핵화 해법과 관련, 북핵 동결이 '임시적 비상조치'로서 '실행 가능하고 현실적인 대안'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트럼프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북한 핵무기 제거 대신 당분간 핵무기 생산을 동결하는 내용의 합의를 한다면 이를 수용할 수 있다고 밝혔다. 또한, 두 사람 사이에 일정 수준의 상호 신뢰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며, 이는 한국과 세계 평화에 기여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한미 동맹과 한국인 구금 사태
이 대통령은 이달 초 미 당국의 조지아주 현대자동차-LG에너지솔루션 공장 건설 현장에 대한 이민 단속과 관련하여 한국인 근로자들에 대한 '가혹한' 처우에 한국민들이 분노했고, 대미투자에 대해 기업들이 우려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번 사건이 한미동맹을 훼손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강조하며, 미국이 이번 사건에 대해 사과했고, 합리적인 조치를 모색하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한반도 지정학적 위치와 국제 정세
이 대통령은 로이터와의 인터뷰에서 사회주의 진영과 한국이 포함된 자본주의·민주주의 진영 간의 대립이 심화하고 있으며, 한국은 그 지정학적 위치 때문에 진영 간 충돌의 최전선에 놓일 위험이 있다고 경고했다. 그는 한·미·일 협력 강화와 북·중·러의 긴밀한 협력 심화 속에서, 군사적 긴장 고조에서 벗어나기 위한 출구를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BBC 인터뷰에서는 중국, 러시아, 북한의 밀착을 우려하며, 미국, 일본과의 협력을 통한 대응 방안을 모색하겠다고 밝혔다.
우크라이나 전쟁과 평화적 공존
이 대통령은 3년 넘게 이어지는 우크라이나 전쟁에 대해 러시아의 침공을 규탄하며, 전쟁이 조속히 끝나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국가 간 관계가 단순하지 않다며, 가능한 곳에서 협력할 방법을 찾고 평화롭게 공존하는 데 힘을 기울여야 한다고 말했다.
핵심 요약: 관세, 북핵, 그리고 복잡한 국제 정세 속 한국의 역할
이재명 대통령은 미국과의 관세 문제 해결의 시급성을 강조하며, 금융 위기의 가능성을 경고했다. 동시에, 북핵 문제에 대한 현실적인 해법을 제시하고, 한반도 지정학적 위치와 국제 정세 속에서 한국의 역할을 강조했다. 특히, 한미동맹의 중요성을 재확인하며, 평화적 공존을 위한 노력을 강조했다.
자주 묻는 질문과 답변
Q.관세 문제 해결을 위해 어떤 노력을 기울일 예정인가요?
A.이재명 대통령은 상업적 합리성을 보장하는 구체적인 합의를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며, 가능한 한 조속히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Q.북핵 동결에 대한 입장은 무엇인가요?
A.북핵 동결을 임시적 비상조치로 보고, 트럼프-김정은 간의 합의를 수용할 수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는 비핵화라는 장기적 목표를 포기하지 않으면서 북한의 핵·미사일 개발 중단을 이끌어내는 방안으로 제시되었다.
Q.한미동맹에 대한 입장은?
A.한미동맹을 훼손하지 않을 것이며, 미국과의 협력을 통해 문제를 해결해 나가겠다는 입장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