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 69만원의 현실: 노인 연금, 최저생계비 절반도 안 돼… '연금 보릿고개' 넘어설 해법은?
고령층의 현실: 연금 수급, 그러나 턱없이 부족한 현실
경기 침체 속에서 직장인들은 고용 불안에 시달리고, 예상치 못한 은퇴는 소득 단절과 삶의 정체성 혼란을 야기합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인생 2막'을 어떻게 준비하느냐에 따라 노후의 행복감은 크게 달라질 수 있습니다. 직장 생활에서는 부의 확대에 집중했다면, 은퇴 후에는 안정적인 현금 흐름 확보가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언제까지 직장인' 연재를 통해 연금테크(연금+재테크)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65세 이상 고령층의 연금 수급자가 증가하고 있지만, 실제 수령액은 최저 생계비에도 미치지 못하는 심각한 현실입니다.
2023년 연금통계: 증가하는 수급자, 낮은 수령액
통계청의 '2023년 연금통계 결과'에 따르면, 65세 이상 연금 수급자는 863만6000명으로 전년 대비 5.6% 증가했습니다. 이는 65세 이상 인구의 90.9%가 연금을 수급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그러나 이들의 월평균 연금 수령액은 69만5000원으로, 2023년 1인 가구 최저 생계비인 124만7000원의 절반 수준에 불과합니다. 중위 수령액은 46만3000원으로 더욱 낮아, 노후 빈곤의 심각성을 보여줍니다.
소득 공백의 그림자: 60세~64세의 현실
60세 퇴직 후 65세 연금 수령 전까지의 소득 공백은 심각한 문제입니다. 2023년 기준, 60~64세 인구 중 연금을 수급하는 비율은 42.7%에 불과하며, 월평균 연금 수령액은 100만4000원에 그쳤습니다. 더욱 우려스러운 것은, 이 연령대 인구의 약 27.4%가 연금 소득은 물론 근로 소득조차 없는 상황이라는 점입니다. 이러한 소득 공백은 노후 대비의 어려움을 가중시키고 있습니다.
연금 절벽과 조기 수령의 딜레마
현재 법정 정년은 만 60세이지만, 국민연금 수령은 63세(2033년부터는 65세)부터 가능해 소득 공백 기간이 길어지고 있습니다. 1969년생 이후 출생자는 최대 5년간 소득 없이 버텨야 하는 상황에 직면할 수 있습니다. 소득 공백을 견디지 못해 조기 수령을 선택할 경우, 연금액이 매년 6%씩 감액되어 노후 생활의 어려움을 더할 수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상황을 '연금 보릿고개'로 칭하며, 정부의 적극적인 정책 마련을 촉구하고 있습니다.
성별 및 연령별 연금 수급 현황
연금 수급률은 남성(95.4%)과 80세 이상 고령층(92.6%)에서 높게 나타났습니다. 월평균 수급액은 남성이 여성보다 많았고, 65~69세 구간이 가장 높았습니다. 여성은 기초연금 수급률이 높고, 남성은 국민연금 가입 기간이 길어 수급액 차이가 발생합니다. 이러한 성별 간의 격차는 노후 대비의 불균형을 보여주는 지표로 작용합니다.
정부의 노후 대비 강화 정책: 출산 크레디트 및 청년 지원
정부는 노후 대비 강화를 위해 소득 활동에도 국민연금이 삭감되지 않도록 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또한, 국민연금의 출산 및 군복무 크레디트 지급 방식을 '사전 지원'으로 전환하여 출산 시점에 30%의 보험료를 국비로 지원할 계획입니다. 2027년부터는 만 18세 청년에게 국민연금 최초 가입 시 3개월치 보험료를 국가가 지원하는 '생애 최초 청년 국민연금' 정책을 시행하여 청년들의 연금 사각지대 해소에 나설 예정입니다.
핵심만 콕!
고령화 시대, 연금 수급은 늘었지만, 최저 생계비에도 못 미치는 현실. 소득 공백과 조기 수령의 딜레마 속에서 정부는 출산 크레디트, 청년 지원 등 노후 대비를 위한 정책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연금 보릿고개'를 넘어, 모두가 안정적인 노후를 맞이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관심과 노력이 필요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
Q.현재 연금 수령액이 부족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A.최저 생계비 상승, 낮은 연금 수령액, 소득 공백 기간 등으로 인해 연금만으로는 안정적인 노후 생활을 유지하기 어렵습니다.
Q.조기 수령을 선택하면 어떤 불이익이 있나요?
A.조기 수령 시 연금액이 매년 6%씩 감액되어, 노후 생활의 경제적 어려움이 가중될 수 있습니다.
Q.정부의 노후 대비 정책은 무엇이 있나요?
A.소득 활동에도 연금 삭감 방지, 출산 크레디트 사전 지원, 청년 국민연금 지원 등 다양한 정책을 통해 노후 대비를 지원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