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릉도, 깨끗한 바다의 눈물: 중국 플라스틱 쓰레기 습격, 해양 오염 심각
울릉도의 숨겨진 그림자: 깨끗한 바다, 쓰레기로 얼룩지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깨끗한 물로 유명한 울릉도, 그 아름다움 뒤에는 가려진 현실이 존재합니다. 바닷속을 가득 채운 해양 쓰레기, 특히 플라스틱 쓰레기는 울릉도의 숨겨진 그림자입니다. 지금과 같은 여름철에는 더욱 심각해지는데, 육상 쓰레기 증가와 더불어 중국, 일본 등 인근 국가에서 밀려오는 쓰레기까지 더해져 문제입니다. 이로 인해 울릉도의 주 산업인 관광과 어족자원에까지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해양 쓰레기의 실태: 낚시, 플라스틱, 그리고 국경 없는 오염
지난 6월 27일, 환경재단은 울릉도에서 ‘2025 바다쓰담 캠페인’의 일환으로 해양 정화 활동을 진행했습니다. 이번 활동에서 수거된 해양쓰레기는 총 158리터에 달했습니다. 낚시 쓰레기, 폐밧줄, 스티로폼 부표, 노끈 등 어업 관련 쓰레기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으며, 스티로폼 파편, 플라스틱 용기, 비닐 등 생활 유래 플라스틱도 다량 발견되었습니다. 더욱 심각한 것은 중국, 일본, 러시아 등 외국어로 적힌 라벨이 부착된 쓰레기가 다수 발견되었다는 사실입니다. 이는 울릉도가 계절풍의 영향으로 외국 쓰레기의 유입이 끊이지 않는 구조임을 보여줍니다.
외국 쓰레기의 습격: 울릉도를 위협하는 해양 오염
한국해양과학기술원의 조사에 따르면, 울릉도 연안에서 발견된 전체 해양쓰레기 중 외국 기인 쓰레기 비율이 8.6%로 동해안 지역 중 가장 높았습니다. 특히 중국산 해양쓰레기가 85.1%로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했으며, 플라스틱 쓰레기가 98%를 차지했습니다. 이러한 플라스틱 쓰레기는 미세플라스틱으로 분해되어 해양 생태계를 교란하고, 결국 인간의 건강까지 위협하는 심각한 문제로 이어집니다.
해결을 위한 노력: 수거, 탐색, 그리고 시스템 개선
정부와 환경단체는 울릉도 해양쓰레기 수거 작업에 지속적으로 나서고 있습니다. 환경재단은 고해상도 항공 드론과 수중 드론을 활용하여 해안선과 해저 쓰레기 분포를 파악하고, 우선순위에 맞는 수거 활동을 펼치고 있습니다. 하지만 울릉도는 섬이라는 특성상, 수거된 쓰레기를 육지로 이송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습니다. 이에 지자체뿐만 아니라 민간단체의 자발적인 쓰레기 수거 작업을 뒷받침할 수 있는 처리 시스템 강화가 시급합니다.
지속 가능한 대응 체계 구축의 필요성
환경재단 관계자는 “특히 기상이 악화하면 수거된 쓰레기가 장기간 방치돼, 2차 오염으로 이어질 수 있는 등 문제가 있다”며 “수중 쓰레기 수거 장비와 인력, 처리 시스템 등 기반 확대 등 전 과정에 거친 대안 마련을 통해 지속 가능한 대응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다이빙 단체 Team STA의 성기철 대표는 “울릉도는 쿠로시오 해류와 쓰시마 난류가 교차하며 계절풍의 영향을 받는 해역으로, 외국 해양쓰레기가 반복적으로 유입되는 구조”라며 현실적인 기반 마련의 중요성을 역설했습니다.
시민 참여의 중요성: 바다쓰담 캠페인과 미래를 위한 약속
환경재단은 2020년부터 시민참여형 해양정화 캠페인 ‘바다쓰담’을 운영하며, 전국 해안과 도서 지역의 민간 정화 활동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2020년부터 지난해까지 총 1만 620명의 시민과 372개 기관이 참여하여 약 160톤의 해양쓰레기를 수거하는 성과를 거두었습니다. 이러한 시민들의 적극적인 참여는 깨끗한 울릉도, 더 나아가 건강한 해양 생태계를 만들어가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우리 모두의 노력으로 아름다운 바다를 지켜나가야 합니다.
핵심 요약: 울릉도 해양 오염의 심각성과 해결을 위한 노력
울릉도의 아름다운 바다, 그 이면에는 중국을 비롯한 외국에서 유입된 플라스틱 쓰레기로 인한 심각한 해양 오염 문제가 자리하고 있습니다. 정부와 환경단체의 수거 노력에도 불구하고, 섬이라는 지리적 특성상 쓰레기 처리 시스템의 한계가 존재합니다. 지속 가능한 대응 체계 구축과 시민 참여를 통해 울릉도의 깨끗한 바다를 되찾고, 해양 생태계를 보호해야 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과 답변
Q.울릉도 해양 쓰레기의 주요 원인은 무엇인가요?
A.중국을 포함한 외국에서 유입되는 플라스틱 쓰레기가 가장 큰 원인입니다. 계절풍의 영향으로 외국 쓰레기가 지속적으로 유입되는 구조적인 문제도 있습니다.
Q.해양 쓰레기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요?
A.해양 쓰레기는 해양 생태계를 교란하고, 미세플라스틱으로 분해되어 먹이사슬을 통해 인간의 건강까지 위협합니다. 또한, 관광 및 어업 등 지역 경제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Q.해양 쓰레기 문제 해결을 위해 무엇을 할 수 있나요?
A.개인의 경우, 플라스틱 사용을 줄이고 쓰레기를 올바르게 배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해양 정화 활동에 참여하고, 관련 정책에 관심을 갖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