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벼랑 끝 외교, '워싱턴에 김 장관밖에 없다'는 절망 속에서 피어난 기적

tisnow 2025. 7. 31. 15:14
반응형

위기의 시작: 2+2 회담 취소와 관세 부과의 그림자

밤사이 미국과 한국의 관세협상 상황이 긴박하게 돌아갔습니다. 대통령실도 밤새 촉각을 곤두세웠고, 결국 시한인 8월 1일을 하루 앞두고 타결소식이 전해졌습니다. 하지만 협상 과정은 순탄치 않았습니다. 지난 24일 스콧 베센트 미국 재무장관이 갑작스레 2+2 회담을 취소하면서 인천공항까지 갔던 구윤철 기획재정부 장관이 발길을 돌려야 했습니다. 관세 부과 시한을 불과 일주일 앞두고 불거진 최대 변수였습니다.

 

 

 

 

워싱턴을 덮친 암운: 고위급 면담 취소와 절망적인 상황

워싱턴에 있던 위성락 국가안보실장도, 백악관에서 만나기로 했던 루비오 국무장관으로부터 '트럼프 대통령의 긴급 호출'을 이유로 면담 취소를 통보받기도 했습니다그야말로 발등에 불이 떨어진 상황. 위 실장까지 귀국한 상황에서 워싱턴에 남아있던 장관급 인사는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뿐이었습니다.

 

 

 

 

고립된 외교 전선: 김정관 장관의 고군분투

지난 23일, 김 장관은 임명된 지 닷새 만에 임명장도 받지 못한 채 출국했습니다. 김 장관은 협상 상대인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의 집무실은 물론 뉴욕 자택까지 찾아갔고, 지난 주말엔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과 함께 러트닉의 스코틀랜드 출장길까지 따라가 협상했습니다. 대서양을 두 번이나 건넌 건데, 러트닉 장관도 '진정성을 느꼈다'는 반응을 보였습니다.

 

 

 

 

진심을 담은 외교: 러트닉 장관을 움직인 헌신

이 과정에서 김 장관은 타결의 핵심 요소가 됐던 미국 조선업 재건, 이른바 '마스가 프로젝트'도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러트닉 장관은 한국 외교관들의 헌신적인 노력에 감동하며,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습니다.

 

 

 

 

극적인 반전: 재협상과 타결의 순간

조금씩 협상에 진전이 보이기 시작하면서, 1차 출국 불발 닷새 만에 재차 방미 길에 오른 구윤철 부총리의 발걸음은 다소 가벼워졌습니다. 막판 협상 내용을 보고받은 이재명 대통령은 "어려운 협의인 건 알지만, 국민 5,200만 명의 대표인 만큼 당당한 자세로 임해줄 것"을 당부하기도 했습니다. 결국, 시한을 하루 앞두고 한국 대표단과 만난 트럼프 대통령은 "한국이 미국에 3,500억 달러를 투자하는 등의 조건으로 상호관세를 25%에서 15%로 낮추기로 했다"고 밝혔습니다.

 

 

 

 

새 정부의 첫 시험대: 위기를 기회로 바꾼 외교

출범 두 달도 안 된 한국의 새 정부가 최대 고비를 넘어선 순간이었습니다.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굴하지 않고, 진심을 담은 외교 노력을 통해 극적인 타결을 이끌어낸 것은 긍정적인 평가를 받기에 충분합니다. 이번 협상은 대한민국 외교의 저력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로 기록될 것입니다.

 

 

 

 

위기의 순간을 돌파한 대한민국 외교의 승리

워싱턴에서의 위기 상황 속, 김 장관을 중심으로 한 끈질긴 노력과 진정성 있는 외교 전략이 관세 협상 타결이라는 놀라운 결과를 만들어냈습니다. 새 정부 출범 후 맞이한 최대 고비를 성공적으로 넘기며, 대한민국 외교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었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

Q.이번 관세 협상의 핵심 쟁점은 무엇이었나요?

A.미국 측의 관세 부과, 한국 측의 투자 유치, 그리고 양국 간의 상호 이익을 조율하는 것이 주요 쟁점이었습니다.

 

Q.김정관 장관의 역할은 무엇이었나요?

A.김정관 장관은 워싱턴에 홀로 남아, 미국 측과 끈질긴 협상을 벌이며 타결의 실마리를 제공했습니다. 특히, 러트닉 장관과의 개인적인 소통을 통해 진정성을 전달하고, '마스가 프로젝트'를 제안하는 등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습니다.

 

Q.이번 협상의 타결이 갖는 의미는 무엇인가요?

A.새 정부 출범 후, 첫 번째 큰 외교적 난관을 성공적으로 극복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지닙니다. 또한, 한미 관계의 굳건함을 재확인하고, 향후 경제 협력의 긍정적인 발판을 마련했다는 점에서도 중요한 성과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