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구금 시설, 300명 이상 한국인 억류… 조속한 석방을 위한 노력과 긴장감
미국 조지아주 구금 시설, 한국인 300명 이상 억류
6일(현지시간) 미국 조지아주 포크스턴에 위치한 이민세관단속국(ICE) 소속 디레이 제임스 교정시설에는 한국 기업 관계자들의 발길이 이어졌다. 이곳은 지난 4일 조지아주 현대차그룹-LG에너지솔루션 합작 배터리 공장 건설 현장에서 불법 체류와 불법 근로 혐의로 체포된 직원 상당수가 구금된 장소다. 당시 단속으로 체포된 인원은 총 475명이며, 이 중 300명 이상이 한국인으로 확인됐다.
구금 시설의 긴장된 분위기
ICE가 공개한 영상에는 체포된 이들이 손발에 체인을 찬 상태로 움직임이 제한된 채 버스에 오르는 모습이 담겼다. 구금시설은 교정시설과 프로세싱 센터 등 세 구역으로 나뉘며, 낮은 건물 여러 동이 늘어서 있고 건물 주변은 철조망으로 둘러싸여 있어 긴장된 분위기를 자아냈다. 주변에는 상업 시설이 전혀 없이 도로와 녹지만 이어져 있고 경찰차가 순찰을 이어가고 있었다.
구금된 직원들의 상황
LG엔솔 협력사 현지 법인의 한 관계자는 이날 오후 변호사와 함께 시설을 찾아 구금된 직원의 상황을 확인했다. 그는 "오늘 아침에 구금된 직원 한 명과 통화가 됐다. 외부에서 전화를 걸 순 없지만, 안에서는 허가받아 전화를 걸 수 있다고 한다"라며 "직원 말로는 밥도 주고 샤워도 할 수 있지만, 열악하다고 하더라. 수갑은 차지 않고 있다고 한다"고 설명했다.
불법 근로 혐의와 비자 문제
또 “(구금된 한국 직원들은) B1·B2(단기 방문비자), ESTA(전자여행허가제·비자면제프로그램의 일종)로 온 경우가 대부분이었다”고 전했다. 미국 당국은 이러한 비자로 입국해 단순 출장 활동을 넘어선 현지 근로 활동을 하는 행위를 불법으로 간주한다.
석방을 위한 노력
협력사들은 구금된 직원들의 조속한 석방을 위해 회사 차원에서 변호사를 고용하고 대책을 논의 중이다. 이 관계자는 "직원들에게는 즉각 추방, 아니면 이민법원 재판을 통한 이의 제기 등 선택지가 있는데, 시간·비용·개인 의사 등을 고려해 결정하려고 한다"고 말했다.
면회 제한과 가족들의 어려움
한국인은 아니지만 LG 협력사에서 근무하는 현지 직원의 가족이 수감된 가족의 얼굴이라도 보기 위해 시설을 찾았다가 허탕을 치는 사례도 있었다. ICE는 토요일과 일요일로 면회 시간을 제한하고 있으며, 토요일의 경우 오전 8시∼11시, 오전 11시∼오후 2시 15분으로 나눠 구금자 그룹별 면회를 진행한다.
장기 구금에 대한 우려
현지에서는 미국 정부가 비자 규정을 엄격히 적용할 경우 장기 구금 사태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결론: 조속한 석방을 위한 노력과 불확실성 속의 희망
미국 조지아주 구금 시설에 억류된 300명 이상의 한국인들의 조속한 석방을 위해 다양한 노력이 진행 중입니다. 긴장된 분위기 속에서, 협력사들은 변호사를 고용하고 대책을 논의하며, 한국 정부는 영사 면담을 통해 상황을 파악하고 있습니다. 비자 문제와 장기 구금에 대한 우려가 있지만, 긍정적인 소식도 들려오고 있어 희망을 잃지 않고 있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
Q.구금된 한국인들은 어떤 혐의를 받고 있나요?
A.불법 체류와 불법 근로 혐의를 받고 있습니다. 특히, B1·B2 비자 또는 ESTA로 입국하여 단순 출장 활동을 넘어선 현지 근로 활동을 한 것이 문제가 된 것으로 보입니다.
Q.석방을 위한 노력은 어떻게 진행되고 있나요?
A.협력사들은 변호사를 고용하여 법적 지원을 하고 있으며, 한국 정부는 영사 면담을 통해 구금자들의 건강 상태를 확인하고 있습니다. 또한, 미국 당국과의 협상을 통해 조속한 석방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Q.앞으로의 전망은 어떻게 예상할 수 있을까요?
A.미국 정부의 비자 규정 적용 여부에 따라 장기 구금 가능성이 있지만, 긍정적인 소식도 들려오고 있습니다. 관계자들은 수요일까지 모든 한국인을 본국으로 돌려보내기 위한 협상을 진행 중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상황은 유동적이므로 지속적인 관심과 노력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