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계의 목소리: 한국노총, 정년 연장 및 4.5일제 논의 지원 요청
한국노총, 대통령에게 정년 연장과 주 4.5일제 도입 논의 지원 요청
한국노동조합총연맹(한국노총)이 이재명 대통령에게 정년 연장 및 주 4.5일제 도입 논의에 대한 관심과 지원을 요청했다. 김동명 한국노총 위원장은 대통령과의 오찬 간담회에서 이 같은 건의 사항을 전달했다. 이는 초고령 사회 진입과 복합 위기 극복을 위한 노동계의 적극적인 움직임으로 풀이된다. 김 위원장은 정년 연장과 관련하여 65세로의 정년 연장을 늦출 수 없는 과제라고 강조하며, 국회에서의 노사정 대화에 대통령실의 관심을 촉구했다.
정년 연장, 65세로의 연장을 위한 사회적 논의 촉구
김동명 위원장은 정년 연장이 주요 국정과제임을 언급하며, 현실적 여건을 고려하여 유연하게 협의에 임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사회적 합의를 통해 긍정적인 결과를 도출하려는 한국노총의 의지를 보여준다. 또한, 김 위원장은 내년을 근로 시간 단축의 역사적인 첫해로 만들 것을 강조하며, 주 4.5일제 시범사업 도입을 제안했다. 병원, 은행 등에서 노사 간 자율 협약을 통해 즉시 시행하도록 정부의 독려를 요청했다.
복합 위기 극복을 위한 사회적 대타협 제안
김동명 위원장은 복합 위기 극복을 위해 경제 주체들의 과감한 결단과 대타협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대통령이 경제 주체들을 모아 숙의 과정을 거친 후 사회적 대타협을 선언할 것을 제안하며, 사회 통합을 위한 리더십 발휘를 촉구했다. 이는 노동계가 단순히 요구하는 입장을 넘어, 사회 전체의 발전을 위한 적극적인 해결책을 제시하려는 노력으로 평가된다.
민주노총, 적폐 청산과 사회 대개혁의 필요성 강조
양경수 전국민주노동조합(민주노총) 위원장은 적폐 세력 청산과 사회 대개혁을 강조하며, 노동 주권 보장을 촉구했다. 그는 노동시장 이중구조와 양극화 해소를 위해 원천 교섭과 초기업 교섭을 통한 근본적 변화를 주장했다. 이는 노동자의 삶을 지키기 위한 민주노총의 확고한 의지를 보여주는 발언이다.
노정 교섭 제안 및 한미 관세 협상 관련 입장 표명
양경수 위원장은 기후위기와 불평등 노동문제 해결을 위한 전면적인 노정 교섭을 제안했다. 또한, 한미 관세 협상에 대해 우리 국민과 노동자를 지키는 당당한 외교를 펼칠 것을 요구하며, '행복 메이커'로서의 역할을 강조했다. 이는 노동계가 당면한 문제 해결뿐만 아니라, 국제적인 문제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려는 의지를 보여준다.
핵심 내용 요약
한국노총과 민주노총은 이재명 대통령과의 간담회를 통해 정년 연장, 주 4.5일제 도입, 사회적 대타협, 노동 주권 보장, 노정 교섭 등 다양한 현안에 대한 입장을 밝혔다. 노동계는 초고령 사회와 복합 위기 속에서 노동자의 권익 보호와 사회 발전을 위한 적극적인 노력을 이어갈 것을 시사했다.
자주 묻는 질문과 답변
Q.한국노총이 대통령에게 요청한 주요 내용은 무엇인가요?
A.정년 연장 및 주 4.5일제 도입에 대한 관심과 지원을 요청했으며, 사회적 대타협을 위한 대통령의 리더십 발휘를 촉구했습니다.
Q.민주노총은 어떤 점을 강조했나요?
A.적폐 청산과 사회 대개혁, 노동 주권 보장, 노동시장 이중구조와 양극화 해소를 위한 노력을 강조했습니다.
Q.노동계가 정부에 바라는 점은 무엇인가요?
A.노동자의 권익 보호, 사회적 대타협, 기후위기 및 불평등 노동 문제 해결을 위한 노정 교섭 등을 통해 더 나은 사회를 만들기를 희망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