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미들의 초조함, '나만 없어 반도체'… 지금이라도 삼성전자·SK하이닉스에 올라타야 할까?
반도체 쏠림 현상 심화: '나 홀로 질주'하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최근 증시에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독주가 두드러지면서, 투자자들의 희비가 엇갈리고 있습니다. 9월 이후, 이 두 종목이 유가증권시장 시가총액 증가액의 66%를 차지하며, 시장 전체의 상승을 견인하고 있습니다. 코스피200 지수가 26.23% 급등하는 동안, 동일 가중 지수는 7.76% 상승에 그친 것은 이러한 쏠림 현상을 단적으로 보여줍니다. 펀드매니저들조차 '반도체 FOMO'에 시달릴 정도로, 반도체주의 위상은 압도적입니다.
외국인,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쓸어담아… 반도체 랠리 주도
외국인 투자자들의 매수세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주가 상승을 더욱 부추기고 있습니다. 9월 이후 외국인은 삼성전자를 8조 9270억원, SK하이닉스를 8520억원 어치 순매수했습니다. 이러한 외국인 자금 유입은 코스피 지수를 3100선에서 3800선으로 끌어올리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습니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시가총액은 각각 179조 3650억원, 152조 5160억원 급증하며, 시장의 뜨거운 관심을 입증했습니다.
반도체 랠리에 가려진 다른 업종들의 고전
반도체주의 급등세와는 대조적으로, 다른 업종들은 상대적으로 부진한 흐름을 보이고 있습니다. 미국 금리 인하 기대감에 바이오 업종이 주목받았지만, 반도체로의 자금 쏠림 현상으로 인해 힘을 쓰지 못했습니다. KRX헬스케어는 4.70% 상승에 그쳤고, 기존 주도주였던 한화오션과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각각 1.52%, 7.81% 상승하며, 시장의 관심에서 멀어졌습니다. 이러한 현상은 펀드 포트폴리오 구성에도 영향을 미쳐, 펀드매니저들의 고민을 깊게 만들고 있습니다.
펀드매니저들의 '반도체 FOMO' 현상
펀드매니저들 사이에서도 '반도체 FOMO' 현상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펀드의 수익률을 높이기 위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비중을 늘리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한 자산운용사 국내주식운용 본부장은 “일부 종목을 차익실현하고 반도체 레버리지 상장지수펀드(ETF)를 포트폴리오에 넣었다”고 밝혔습니다. 중소형주나 바이오주를 담은 펀드매니저들 사이에서는 소외감과 불안감이 커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전문가들의 전망: 반도체 랠리는 지속될 것인가?
증권가에서는 당분간 반도체주의 강세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삼성증권은 4분기 코스피지수 예상 상단을 4050으로 조정하며, 반도체 업종의 실적 개선을 근거로 제시했습니다. 최근 한 달간 코스피200 상장사의 12개월 선행 순이익 전망치가 9.4% 늘었고, 이 중 반도체 업종의 기여도가 8.8%p에 달했습니다. 삼성증권 연구원은 “반도체 수출 단가 상승세가 가파른 상황”이라며, 반도체주가 이끄는 강세장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투자 전략: '반도체 FOMO'를 극복하고 현명한 투자 판단을
전문가들은 무리한 추격 매수보다는, 조정을 받아 저렴해진 종목에 주목할 것을 조언합니다. 한국투자신탁운용 주식운용본부장은 “국내 증시가 대세 상승장에 진입한 만큼 돈을 벌 수 있는 기회는 무궁무진하기 때문에 ‘반도체 FOMO’를 가질 필요는 없다”고 강조했습니다. 조선, 방위산업, 엔터테인먼트 등 기존 주도주의 펀더멘털에는 문제가 없으므로, 저가 매수를 고려해볼 만하다는 의견입니다.
핵심만 콕!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중심의 반도체 랠리가 지속되는 가운데, 투자자들은 '반도체 FOMO'에 시달리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긍정적인 전망을 내놓으면서도, 무리한 추격 매수보다는 저평가된 종목에 주목하며, 장기적인 안목으로 투자할 것을 권고합니다.
궁금증 해결! Q&A
Q.지금이라도 삼성전자나 SK하이닉스에 투자해야 할까요?
A.전문가들은 반도체 업종의 성장 가능성을 높게 평가하지만, 섣부른 추격 매수보다는 시장 상황을 면밀히 분석하고, 분할 매수 등 전략적인 접근을 권합니다.
Q.반도체 외 다른 유망 업종은 없을까요?
A.조선, 방위산업, 엔터테인먼트 등 기존 주도주들이 수급 문제로 하락한 경우, 펀더멘털에 문제가 없다면 저가 매수를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Q.펀드 투자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A.펀드매니저의 운용 전략과 포트폴리오를 꼼꼼히 살펴보고, 자신의 투자 목표와 위험 감수 능력을 고려하여 신중하게 결정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