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쿠팡노조, 민주노총 새벽배송 금지 주장에 '탈퇴 보복' 외침: 노동계 갈등 심화

yestistory 2025. 11. 7. 14:43
반응형

쿠팡, 3분기 최대 매출 기록…노동계 갈등의 불씨

쿠팡이 3개 분기 연속 2천억원대 영업이익을 기록하며, 3분기 매출은 12조 8천억원대로 분기 기준 최대를 달성했습니다. 이러한 성과에도 불구하고, 쿠팡의 직고용 배송기사 노조인 쿠팡친구 노동조합(쿠팡노조)은 민주노총의 새벽배송 금지 추진에 대해 '민주노총 탈퇴에 대한 보복'이라는 강경한 입장을 밝혔습니다. 이는 쿠팡의 성장과 노동계 내부의 갈등이 복잡하게 얽혀 있음을 보여주는 단면입니다.

 

 

 

 

쿠팡노조, 민주노총의 새벽배송 금지 주장에 반발

쿠팡노조는 7일 입장문을 통해 '지금의 새벽배송 금지 주장은 쿠팡노조가 민주노총을 탈퇴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라고 주장했습니다. 노조는 '조합원의 일자리를 빼앗는 주장을 노동조합이 한다는 것 자체가 말이 되지 않는다'며 강하게 비판했습니다. 특히, '대다수 야간 배송 기사들이 반대하는 상황에서 민주노총만이 이를 고수하는 것은 그들의 조합 내 야간 배송기사 비율이 극히 낮기 때문에 나머지는 어떻게 돼도 상관없다는 의미로 보일 정도'라며 민주노총의 입장을 날카롭게 지적했습니다.

 

 

 

 

쿠팡노조의 민주노총 탈퇴 배경

쿠팡노조는 2023년, 조합원의 권익을 위한 실질적인 활동에 집중하기 위해 민주노총을 탈퇴했습니다. 당시 조합원 93%의 찬성으로 탈퇴가 결정되었으며, '정치적 활동에 대한 강요', '조합원 권익보다 산별노조의 여러 활동 참여 요구', '조합비 납부로 인한 이익 침해' 등이 탈퇴의 주요 이유로 언급되었습니다. 이는 노동조합의 활동 방향성에 대한 갈등이 심화되었음을 보여줍니다.

 

 

 

 

사회적 대화 기구 참여 배제에 대한 비판

쿠팡노조는 택배노동자인 김슬기 전국비노조택배연합 대표가 사회적 대화기구 회의장에서 '당사자가 아니다'라는 이유로 퇴장조치된 사건에 대해서도 비판적인 입장을 표명했습니다. 쿠팡노조는 '민주노총의 반대가 작용했다는 후문'이라며, 정부에 쿠팡노조의 사회적 대화기구 참여를 즉시 보장할 것을 요구했습니다. 이는 노동계 내에서의 소통 부재와 특정 세력의 영향력 확대를 우려하는 목소리로 해석됩니다.

 

 

 

 

택배기사 생존권 문제와 소외된 목소리

택배업계에 따르면, 김 대표는 지난 5일 사회적대화기구 회의에서 퇴장조치되었습니다. 당시 회의에는 '종사자' 자격으로 민노총 택배노조가 참가했으며, 김 대표는 노조 소속이 아니라는 이유로 '사회적 대화'에 참여하지 못했습니다. 쿠팡노조는 '택배기사의 생존권이 달린 문제인데도 당사자인 쿠팡노조와 전국비노조택배연합이 배제된 채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며, '을을 지키기 위해 시작된 논의가 을을 배제한 채 을의 일자리를 위협하는 현실이 개탄스럽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노동계 내부의 갈등이 특정 집단의 이익만을 대변하는 방향으로 흐를 수 있다는 우려를 나타냅니다.

 

 

 

 

핵심 정리: 쿠팡노조와 민주노총의 갈등, 그 배경과 의미

쿠팡의 성장과 노동계의 갈등이 맞물려 복잡한 양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쿠팡노조는 민주노총의 새벽배송 금지 추진을 '탈퇴 보복'으로 규정하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습니다. 노조 탈퇴 배경, 사회적 대화 기구 참여 배제 등 일련의 사건들은 노동계 내부의 갈등과 소통 부재, 그리고 특정 세력의 영향력 확대를 보여줍니다. 이는 노동 환경 변화에 대한 다양한 목소리를 담아내지 못하고, 오히려 소외시키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는 점에서 우려를 자아냅니다.

 

 

 

 

자주 묻는 질문 (Q&A)

Q.쿠팡노조가 민주노총을 탈퇴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A.쿠팡노조는 조합원의 권익을 위한 실질적인 활동에 집중하기 위해 2023년 민주노총을 탈퇴했습니다. 정치적 활동 강요, 조합원 권익 침해 등이 주요 이유였습니다.

 

Q.이번 새벽배송 금지 주장의 핵심 쟁점은 무엇인가요?

A.쿠팡노조는 민주노총의 새벽배송 금지 주장을 자신들의 탈퇴에 대한 보복으로 보고 있습니다. 이는 노동조합 간의 갈등과 조합원의 일자리 문제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Q.앞으로 이 사태는 어떻게 전개될 것으로 예상되나요?

A.노동계 내부의 갈등이 심화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쿠팡노조와 민주노총 간의 대립, 그리고 사회적 대화 기구에서의 소외 문제는 해결해야 할 과제로 남아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