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대통령실 사칭 문자 주의보: 당신도 피해자가 될 수 있습니다!

tisnow 2025. 7. 19. 14:14
반응형

수상한 문자, 당신의 안부를 위협하다

모르는 번호로 걸려온 전화 한 통. 받자 마자 수신자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최근 이렇게 걸려온 전화가 한두 통이 아니라 수십 통이었다고 합니다. 특히 언론에 가장 많이 노출되는 대통령실 강유정 대변인, 안귀령 부대변인도 이런 곤혹을 치렀다고 하는데요.

 

 

 

 

대통령실 관계자 사칭, 그 수법은?

보좌진, 의원, 전 재판관까지 발송한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최근 안귀령 부대변인 번호로 한 통의 문자를 받았다고 합니다. '대통령실 통화 요청, 안귀령' 이렇게 적힌 문자였습니다. 이 의원은 채널A와 통화에서 "대통령실이라고 하니까 공식적인 문자 같은데 보통 이렇게 따로 보내지 않는다. 뭔가 급한 일이 있었나 싶더라"라며 "전화해보니 누군가가 안 부대변인 번호를 도용했단 사실을 알게 됐다"고 했습니다.

 

 

 

 

피해 규모는 얼마나 심각한가?

이런 문자는 현역 의원뿐 아니라 민주연구원 전·현직 인사, 보좌진, 전 헌법재판관, 병원이나 교회 관계자까지 발송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명의 도용 문자 중에는 "대통령실 행정관입니다. 부대변인이 통화를 원합니다", "대변인실 업무가 워낙 바쁘고 인원이 없으니 인사 추천 바랍니다" 취지의 내용도 있었다고 하는데요. 문자를 받은 당사자도, 전화 받은 당사자도 화들짝 놀랄 수밖에 없는 상황이었던 거죠.

 

 

 

 

대통령실의 경고와 대응

안 부대변인은 이렇게 말했습니다. "대통령실 관계자 사칭 문자로 피해자가 늘어날까봐 걱정된다대통령실 관계자 이름이 적힌 문자, 국민들께서도 조심할 필요가 있어보인다"고요. 대변인실 사칭 "해수부 이전 취소" 전화'대통령 대변인실' 명의가 도용되는 사례도 있었는데요. 최근 국회 한 사무실로 대통령 대변인실이라며 "해수부 이전을 취소한다"는 내용의 전화가 걸려왔습니다. 이상한 낌새를 눈치챈 국회관계자가 바로 대변인실에 알려와 명의 도용 사실을 인지했는데요.

 

 

 

 

명의 도용 사기의 배경과 원인

임기 초반 이렇게 명의 도용 사기가 발생한 까닭은 뭘까요? 과거에 비해 정치인이나 현역 의원 번호를 쉽게 구할 수 있게 된 '달라진 정치 문화'가 작용했다는 분석입니다. 한 정치권 인사는 "이제는 쉽게 정치인 번호나 SNS 계정, 주소 등을 알 수 있는 세상 아니냐"며 "그 연장선상에서 대통령실 관계자 번호, 특히 정당에 몸담았던 인사들의 번호는 쉽게 공유될 것"이라고 했는데요.

 

 

 

 

주의, 또 주의! 피해를 막는 방법

대통령 임기 초반은 국정 운영이 가장 힘 받는 시점이란 점을 노렸을 것이란 시각도 있습니다. 다행히도 아직까지 금전적, 물질적 피해로 이어지진 않았지만 대통령실 관계자 이름이 적힌 문자를 받는다면 일단 주의하셔야겠습니다.

 

 

 

 

핵심 요약: 대통령실 사칭 문자에 대한 경고

최근 대통령실 관계자를 사칭한 문자 발송 사례가 급증하며 주의가 요구됩니다. 다양한 직군과 연령대를 대상으로 한 광범위한 사기 시도로, 금전적 피해는 아직 없지만, 심리적 불안감을 조성하고 있습니다. 출처 불분명한 문자나 전화는 즉시 확인하고, 의심스러운 경우 관련 기관에 신고하는 등 적극적인 대처가 필요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과 답변

Q.대통령실 사칭 문자를 받았을 때 어떻게 해야 하나요?

A.우선 문자에 포함된 정보의 진위를 의심하고, 대통령실 또는 관련 기관에 직접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개인 정보를 제공하거나, 링크를 클릭하는 행위는 절대 삼가야 합니다.

 

Q.명의 도용으로 인한 피해를 예방하려면?

A.출처가 불분명한 문자나 전화는 무시하고, 개인 정보 노출을 최소화해야 합니다. 또한, 대통령실 관련 정보를 사칭한 경우, 즉시 해당 기관에 신고하여 추가 피해를 막아야 합니다.

 

Q.대통령실은 사칭 문자에 대해 어떤 조치를 취하고 있나요?

A.대통령실은 명의 사칭 및 도용에 대해 엄중 경고하고 있으며, 필요시 고소 조치를 검토하고 있습니다. 또한, 국민들에게 관련 내용을 알리고 주의를 당부하고 있습니다.

 

 

 

 

 

 

반응형